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Article

Split Viewer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24; 33(4): 173-182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5807/kjohn.2024.33.4.173

Copyright ©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Trauma Patie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

Kim, Moo Seong1 · Kim, Hye-Jin2

1Nurse, Trauma Intensive Care Unit, Ulsan University Hospital, Ulsan, Korea
2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Correspondence to:Kim, Hye-Jin https://orcid.org/0000-0001-7088-2692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93 Daehak-ro, Nam-gu, Ulsan 44610, Korea.
Tel: +82-52-259-1259, Fax: +82-52-259-1236, E-mail: kk02khj@ulsan.ac.kr

- 이 논문은 제1저자 김무성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임.
- This article is article is based on a part of the 1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University.

Received: August 19, 2024; Revised: October 21, 2024; Accepted: November 6,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evere industrial accident trauma who visited the trauma resuscitation department of a regional trauma center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system. Methods: Among the 15,721 patients who visited the regional trauma center at U University Hospital in U City from January 1, 2021 to December 31, 2022,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114 patients with severe industrial accident trauma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Nursing intervention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using the NIC system based on the patients` main injury site. Results: A total of 3,247 nursing interventions(classified into five areas, 17 groups, and 69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in injury site.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interventions were physiological: complex. Next, safety, physiological: basic, behavioral, and health system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in that order.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trauma.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tandardized nursing interventions and the overall quality of nursing care.

Keywords: Occupational accidents, Multiple trauma, Trauma nursing, Nursing

1. 연구의 필요성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이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산업재해 중 중공업, 건설, 조선 등의 특정 사업장에서 주로 빈발하는 중대 재해는 재해 정도가 심하여 사고 발생 시 중증외상과 사망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Cho, 2009).

2021년 우리나라 중증외상 환자는 8,906건으로 전체 외상 환자의 3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정부는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줄이고자, 2021년 기준 17개의 권역외상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22). 중증외상 환자의 경우 다발성 외상 환자가 많아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생명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처치와 손상 부위 사정, 치료 및 간호 활동이 동시다발적으로 행해져야 한다(Kim, Kim, & Park, 2013). 이처럼 산업재해로 인한 중증외상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환자 예후에 중요하기 때문에, 중증외상 환자가 외상소생구역 내원 후 최대 30분 안에 의료진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여, 치료와 처치를 시행해야 한다(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20). 따라서 권역외상센터 간호사는 중증외상 환자의 간호문제 및 중재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어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Jang & Lee, 2021).

간호중재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는 실무에 근거하여 귀납적으로 개발된 간호중재 분류체계로, 각 분야에서 행하는 간호를 표준화된 간호중재로 설명할 수 있게 한 도구이다(Jang & Lee, 2021). NIC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활용되었으며, 간호진단 및 결과라는 연속 선상에서 이용될 수 있어 간호실무와 교육 및 연구에서 유용한 체계이다(Butcher, Bulechek, Dochterman, & Wagner, 2016). NIC를 통한 표준화된 간호중재 분석은 추후 체계적인 간호 실무지침에 이용될 수 있고, 응급상황에 노출되는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업무지침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Yang, 2022). 따라서 복잡한 특성을 갖는 중증외상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중재를 분석하고 표준화하는 것은 중요하다(Yang, 2022).

최근 국내외에서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무 현장과 환자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Kim et al, 2013). 더불어 침습적인 치료 및 처치의 발달로 인해 간호중재에도 많은 변화가 있으므로(Jang & Lee, 2021), 외상간호 연구와 교육에 이러한 최신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NIC를 외상 환자에 적용한 간호 연구로는 응급실 유형에 따른 흉부외상 환자 간호중재 분석(Kim & Kim, 2021), 복부외상 환자 간호중재 분석(Jang & Lee, 2021), 중증 흉부외상 환자 간호중재 분석(Kim & Seo, 2021) 등으로 단일 부위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특성 및 이들에게 제공되는 처치와 간호중재를 파악하여,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에게 수행되는 간호중재의 내용과 빈도를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더불어 간호중재 분석을 통해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를 위한 간호업무를 정립하는데 기초자료 및 교육자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일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중 간호수행과 간호기록을 간호중재분류체계인 NIC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U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산업재해로 내원한 중증외상 환자의 외상등록체계 및 EMR을 바탕으로 하였다. 전체 외상 환자 15,721명 중 최종 손상중증도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15점 이하에 해당되는 경증 외상 환자 14,842명과 내원기준이 산업재해가 아닌 환자 732명을 제외하였다. 또한 주 상해 부위가 한 부위가 아닌 여러 부위로 중복된 환자의 경우 상해 부위에 적용된 간호중재분류가 불분명해지므로, 모든 상해 부위의 간이손상척도(Abbreviated Injury Scale, AIS) 값을 구하여, 주 상해 부위가 여러 부위인 환자를 제외하였다(Kim et al, 2013). 이에 주 상해 부위가 여러 부위인 환자 33명을 제외한 최종 114명을 선정하여 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3. 연구도구

1) 대상자의 제 특성

대상자의 제 특성인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산업재해 특성은 선행연구(Jang & Lee, 2021; Kim et al., 2013; Kim & Kim, 2021; Kim & Seo, 2021)를 참고하여 나이, 내원경로, 내원수단, 외상센터 사전연락여부, 외상소생구역 체류시간, 수혈여부, 주 진료과, 치료계획 및 결과, ISS, 글라스고우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 의식수준, 외상소생구역 내원시 첫 활력징후, 보호장구착용 유무, 산업재해업종, 사고원인 총 1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ISS는 환자의 진단명을 기준으로 AIS의 코드와 일치되는 항목을 이용하여 계산한 점수로(Baker et al., 1974). 계산 시에는 코딩 원칙에 따라 6개 구획인 두경부,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및 골반부, 체표부(피부)로 분류하게 된다. 계산 공식은 AIS의 가장 높은 중증도 점수 상위 3개의 제곱 값의 합으로 구한다. ISS는 0~75점 사이에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손상이 심하다는 의미로 16점 이상은 중증외상 환자로 인정하고 있다(Baker et al, 1974).

2) 간호중재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본 연구에서는 외상소생구역 간호사들이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모든 간호활동을 Butcher 등(2016)이 개발한 NIC 7판의 565개의 간호중재 목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NIC는 모든 분야의 간호사가 수행하고 있는 간호행위에 대해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언어체계이며, 직접 및 간접 간호중재, 그리고 일반적 간호실무와 세분화된 간호실무 분야의 간호중재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7개의 영역(Domain)과 30개의 군(Class), 565개의 간호중재(Intervention)로 분류하였다.

4. 자료수집

본 연구는 해당 기관 윤리심의위원회 연구 승인을 받은 후 자료조사를 시작하였다(IRB No. 2023-05-023-002). 연구의 자료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U 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 EMR 중 내원정보조사지, 간호수행 목록, 간호기록지에서 연구자가 직접 의미있는 자료를 추출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EMR을 통해 상해 부위마다 AIS를 부여하여 최종 ISS를 계산하였다. 이 중 ISS 16점 이상 중증외상 환자의 외상센터 내원유형 및 내원정보조사지를 통해 산업재해로 내원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제 특성은 EMR을 보고 연구자가 조사지에 기입하였으며, 간호중재는 간호수행 목록 및 간호기록지에 작성된 내용을 바탕으로 수집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간호중재는 외상소생구역 입실부터 퇴실까지 간호수행 목록 및 간호기록지에 작성된 모든 간호활동을 본 연구자와 연구보조 1인이 분류한 후 간호학과 교수와 확인하였다. 연구자 간의 간호중재분류의 타당도 확인을 위해 임의로 대상자 10인의 EMR에서 수집한 간호중재를 NIC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자 간의 일치도는 97.2%였다. 일치하지 않은 간호중재 항목에 대해서는 간호학과 교수와 논의 후 채택 여부를 결정하였다. 수집된 간호중재는 NIC 7판을 이용하여 해당 중재를 찾아 상위 개념인 군과 영역을 찾아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제 특성, 중증도 점수,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다.

1. 주 상해 부위에 따른 대상자의 제 특성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두경부손상군이 56.3세로 가장 많았고, 체표부손상군이 45.8세로 가장 적었으며, 주 상해 부위 손상군 간의 차이가 있었다(p=.043). 대상자의 치료계획 및 결과는 두경부(64.1%), 흉부(50.0%), 복부(45.5%),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58.3%)의 경우 중환자실 입실이 가장 많았으며, 체표부손상군은 전원이 가장 많았다(77.8%).

임상적 특성 중 GCS는 복부손상군의 경우 14.9점으로 가장 높았고, 흉부손상군이 10.8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주 상해 부위 손상군 간의 차이가 있었다((p=.009). 전체 대상자 중 응급 소생술을 시행한 10명을 제외한 104명의 외상소생구역 내원 시 첫 활력징후를 분석한 결과, 두경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이 148.0 mmHg로 흉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 126.2 mmHg와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 123.9 mmHg보다 높았다(p=.043). 대상자의 심박동수는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의 경우 97.0회/분, 체표부손상군의 경우 100.7회/분으로 두경부손상군 81.4회/분보다 높았다(p=.029).

산업재해 특성 중 대상자의 보호장구 착용 여부는 모든 군에서 미상이 가장 많았고, 산업재해 발생업종은 제조업(두경부 46.9%, 흉부 50.0%, 복부 54.5%, 체표부손상군 66.7%)이 가장 많았다.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에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41.7%로 동일했다. 사고원인은 추락사고(두경부 60.9%, 흉부 55.6%,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58.3%)로 인한 손상이 가장 많았고, 체표부손상군의 경우 화상사고로 인한 손상이 88.9%로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VariablesCategoriesHead & Necka (n=64)Thoraxb (n=18)Abdomenc (n=11)ExtremityD (n=12)External (skin)e (n=9)p
n (%) or M±SDn (%) or M±SDn (%) or M±SDn (%) or M±SDn (%) or M±SD
Age (year)56.3±10.2452.8±11.7851.1±8.8551.3±17.5345.8±11.67.043e<a
Admission route

Direct admission

Transfer

41 (64.0)

23 (36.0)

12 (66.7)

6 (33.3)

8 (72.7)

3 (27.3)

9 (75.0)

3 (25.0)

9 (100.0)

-

-
Admission mode

119 ambulance

Other ambulance

Company ambulance

38 (59.4)

22 (34.3)

4 (6.3)

10 (55.6)

6 (33.3)

2 (11.1)

6 (54.5)

4 (36.4)

1 (9.1)

7 (58.3)

3 (25.0)

2 (16.7)

4 (44.5)

2 (22.2)

3 (33.3)

-
Prior contact with trauma center

Yes

No

35 (54.7)

29 (45.3)

13 (72.2)

5 (27.8)

8 (72.7)

3 (27.3)

10 (83.3)

2 (16.7)

7 (77.8)

2 (22.2)

-
Lapse time (mins)145.4±137.80124.6±149.12174.7±175.4093.8±37.1868.2±17.93.105
Transfusion

Yes

No

3 (4.7)

61 (95.3)

3 (16.7)

15 (83.3)

4 (36.4)

7 (63.6)

8 (66.6)

4 (33.4)

1 (11.1)

8 (88.9)

-
Main treatment partTS NS OS EM

8 (12.5)

53 (82.8)

2 (3.1)

1 (1.6)

15 (83.3)

2 (11.1)

1 (5.6)

-

4 (36.4)

6 (54.5)

1 (9.1)

-

10 (83.4)

-

1 (8.3)

1 (8.3)

9 (100.0)

-

-

-

-
Treatment plan & results

GW

ICU

OR

Transfer

Death

DOA

9 (14.1)

41 (64.1)

10 (15.6)

-

3 (4.7)

1 (1.5)

3 (16.7)

9 (50.0)

1 (5.6)

-

5 (27.8)

-

3 (27.3)

5 (45.4)

3 (27.3)

-

-

-

-

7 (58.3)

2 (16.7)

2 (16.7)

-

1 (8.3)

-

1 (11.1)

1 (11.1)

7 (77.8)

-

-

-
ISS26.0±10.4531.6±21.7620.3±5.6629.4±9.4128.8±19.32.142
GCS11.8±4.2310.8±5.9214.9±0.3011.4±4.1214.7±0.71.009a,b,d
LOC

Alert

Confuse

Drowsy

Stupor

Semi-coma

Coma

28 (43.8)

8 (12.5)

11 (17.2)

11 (17.2)

2 (3.1)

4 (6.2)

11 (61.0)

1 (5.6)

-

1 (5.6)

-

5 (27.8)

10 (90.9)

-

1 (9.1)

-

-

-

4 (33.4)

2 (16.7)

1 (8.3)

3 (25.0)

1 (8.3)

1 (8.3)

7 (77.8)

2 (22.2)

-

-

-

-

-
Vital sign (n=104)

SBP (mmHg)

DBP (mmHg)

HR (beat/min)

RR (breaths/min)

BT (℃)

SpO2 (%)

148.0±28.31

93.6±19.96

81.4±17.01

19.2±3.67

36.5±0.48

97.9±2.84

126.2±26.27

84.2±20.11

88.0±20.46

20.7±3.01

36.6±0.40

96.2±3.30

135.5±30.53

88.9±23.27

81.2±18.09

19.8±4.49

36.4±0.25

97.5±2.46

123.9±26.25

86.4±26.23

97.0±24.99

23.5±7.33

36.6±0.25

98.3±2.57

141.0±34.29

80.2±20.66

100.7±20.07

20.4±5.18

36.3±0.30

98.3±2.60

.043b,d<a

.363

.029a

.230

.619

.178

Protective gear

Yes

No

Unknown

8 (12.5)

5 (7.8)

51 (79.7)

1 (5.6)

1 (5.6)

16 (88.8)

1 (9.1)

-

10 (90.9)

2 (16.7)

-

10 (83.3)

-

1 (11.1)

8 (88.9)

-
Type of occupational

Construction

Express

Shipbuilding

Manufacturing

Other

14 (21.9)

6 (9.4)

7 (10.9)

30 (46.9)

7 (10.9)

3 (16.7)

1 (5.6)

2 (11.1)

9 (50.0)

3 (16.7)

3 (27.3)

-

1 (9.1)

6 (54.5)

1 (9.1)

5 (41.7)

-

2 (16.6)

5 (41.7)

-

1 (11.1)

-

2 (22.2)

6 (66.7)

-

-
Mechanism of injury

Fall down

Slip down

Struck

Machine

Pedestrian

TA Burn

39 (60.9)

4 (6.3)

15 (23.4)

4 (6.3)

2 (3.1)

-

10 (55.6)

-

6 (33.3)

1 (5.6)

1 (5.6)

-

5 (45.5)

-

6 (54.5)

-

-

-

7 (58.3)

-

2 (16.7)

1 (8.3)

2 (16.7)

-

-

-

-

-

1 (11.1)

8 (88.9)

-

BT=Body temperature; DBP=Diastolic blood pressure; DOA=Dead on arrival; EM=Emergency medicine; GCS=Glasgow Coma Scale;

GW=General ward; HR=Heart rate; ICU=Intensive care units; ISS=Injury Severity Score; LOC=Level of consciousness); NS=Neurosurgery;

OR=Operating rooms; OS=Orthopedic surgery; RR=Respiratory rate; SBP=Systolic blood pressure; SD=Standard deviation; SpO2=Saturation by pulse oximetry; TA=Traffic accident; TC=trauma center; TS=Trauma surgery; Excluded fro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griculture/water supply industry/electricity/gas.



2.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 분류

대상자의 EMR에서 도출된 간호중재는 총 3,247건이었다. NIC 기준 7개 영역 중 가족 및 지역사회 영역을 제외한 5개 영역, 17개 군, 62개의 중재가 나타났으며, NIC에서 분류되지 않은 3개의 중재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맥내 약물투여를 NIC 기준에서 더욱 세분화하였으며, 총 69개의 간호중재를 Table 3에 기재하였다.

Table 3 . Nursing Intervention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Nursing interventionHead & Neck (n=64)Thorax (n=18)Abdomen (n=11)Extremity (n=12)External (skin) (n=9)
n (%)n (%)n (%)n (%)n (%)

Neurologic monitoring

Vital signs monitoring

Peripheral sensation management

IV insertion

Surveillance

Hemodynamic regulation

Respiratory monitoring

Phlebotomy: venous blood sample

Phlebotomy: blood unit acquisition

Health screening

Nutritional monitoring

Teaching: procedure/treatment

Fluid management

Fall prevention

Teaching: disease process

Admission care

Invasive hemodynamic monitoring

Phlebotomy: arterial blood sample

Positioning

Analgesic administration

Pain management: acute

Hypovolemia management

Hypothermia treatment

Urinary catheterization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antibiotic)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hemostatic)

Positioning: neurologic

Hypoglycemia management

Transport interfacility

Skin surveillance

64 (100.0)

64 (100.0)

63 (98.4)

62 (96.9)

61 (95.3)

60 (93.8)

59 (92.2)

58 (90.6)

58 (90.6)

57 (89.1)

57 (89.1)

57 (89.1)

55 (85.9)

55 (85.9)

55 (85.9)

54 (84.4)

49 (76.6)

49 (76.6)

46 (71.9)

42 (65.6)

42 (65.6)

42 (65.6)

40 (62.5)

39 (60.9)

34 (53.1)

34 (53.1)

34 (53.1)

30 (46.9)

30 (46.9)

29 (45.3)

18 (100.0)

18 (100.0)

16 (88.9)

18 (100.0)

17 (94.4)

17 (94.4)

17 (94.4)

14 (77.8)

14 (77.8)

14 (77.8)

13 (72.2)

12 (66.7)

16 (88.9)

12 (66.7)

14 (77.8)

12 (66.7)

10 (55.6)

12 (66.7)

9 (50.0)

11 (61.1)

11 (61.1)

8 (44.4)

12 (66.7)

8 (44.4)

6 (33.3)

5 (27.8)

11 (61.1)

4 (22.2)

4 (22.2)

5 (27.8)

11 (100.0)

11 (100.0)

10 (90.9)

8 (72.7)

10 (90.9)

10 (90.9)

10 (90.9)

10 (90.9)

10 (90.9)

9 (81.8)

11 (100.0)

10 (90.9)

10 (90.9)

11 (100.0)

11 (100.0)

11 (100.0)

9 (81.8)

8 (72.7)

6 (54.6)

9 (81.8)

9 (81.8)

5 (45.5)

8 (72.7)

7 (63.6)

7 (63.6)

7 (63.6)

7 (63.6)

7 (63.6)

7 (63.6)

3 (27.3)

12 (100.0)

12 (100.0)

11 (91.7)

11 (91.7)

11 (91.7)

12 (100.0)

12 (100.0)

11 (91.7)

11 (91.7)

10 (83.3)

9 (75.0)

8 (66.7)

11 (91.7)

9 (75.0)

10 (83.3)

9 (75.0)

10 (83.3)

10 (83.3)

8 (66.7)

9 (75.0)

9 (75.0)

8 (66.7)

10 (83.3)

9 (75.0)

8 (66.7)

8 (66.7)

5 (41.7)

8 (66.7)

4 (33.3)

6 (50.0)

9 (100.0)

9 (100.0)

8 (88.9)

9 (100.0)

8 (88.9)

8 (88.9)

8 (88.9)

6 (66.7)

6 (66.7)

9 (100.0)

9 (100.0)

2 (22.2)

9 (100.0)

8 (88.9)

5 (55.6)

8 (88.9)

7 (77.8)

7 (77.8)

2 (22.2)

9 (100.0)

9 (100.0)

8 (88.9)

8 (88.9)

9 (100.0)

9 (100.0)

7 (77.8)

7 (77.8)

2 (22.2)

1 (11.1)

9 (100.0)

Wound care

Oxygen therapy

Medication administration: IM

Airway suction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anticonvulsants)

Central venous access device management

Anesthesia administration

Airway insertion and stabilization

Bed rest care

Mechanical ventilation management: invasive

Cerebral edema management

Suturing

Vomiting management

Surgical preparation

Fluid resuscitation

Hypertension management

Splint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osmotic diuretic)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steroid)

Wound irrigation

Discharge planning

Cardiac care: acute

Emergency care

Resuscitation

Self-care assistance: toileting

Tube care chest

Blood products administration

Medication administration: IO

Nasogastric intubation

Tube care: gastrointestinal

Nausea management

27 (42.2)

26 (40.6)

25 (39.1)

22 (34.4)

22 (34.4)

21 (32.8)

21 (32.8)

19 (29.7)

19 (29.7)

18 (28.1)

18 (28.1)

13 (20.3)

10 (15.6)

9 (14.1)

8 (12.5)

8 (12.5)

8 (12.5)

8 (12.5)

7 (10.9)

6 (9.4)

4 (6.3)

3 (4.7)

3 (4.7)

3 (4.7)

3 (4.7)

3 (4.7)

2 (3.1)

2 (3.1)

1 (1.6)

1 (1.6)

1 (1.6)

5 (27.8)

8 (44.4)

5 (27.8)

7 (38.9)

-

8 (44.4)

2 (11.1)

4 (22.2)

4 (22.2)

2 (11.1)

2 (11.1)

2 (11.1)

-

1 (5.6)

7 (38.9)

-

4 (22.2)

-

1 (5.6)

-

5 (27.8)

6 (33.3)

5 (27.8)

5 (27.8)

-

4 (22.2)

2 (11.1)

-

1 (5.6)

1 (5.6)

-

3 (27.3)

6 (54.6)

6 (54.6)

1 (9.1)

-

5 (45.5)

1 (9.1)

1 (9.1)

3 (27.3)

-

-

1 (9.1)

-

2 (18.2)

2 (18.2)

-

2 (18.2)

-

2 (18.2)

-

-

1 (9.1)

-

-

-

-

1 (9.1)

-

-

-

-

6 (50.0)

8 (66.7)

9 (75.0)

5 (41.7)

-

7 (58.3)

6 (50.0)

5 (41.7)

6 (50.0)

5 (41.7)

-

1 (8.3)

-

3 (25.0)

9 (75.0)

-

3 (25.0)

-

-

1 (8.3)

3 (25.0)

1 (8.3)

1 (8.3)

1 (8.3)

-

3 (25.0)

4 (33.3)

-

1 (8.3)

1 (8.3)

-

1 (11.1)

5 (55.6)

7 (77.8)

4 (44.4)

-

8 (88.9)

3 (33.3)

4 (44.4)

1 (11.1)

4 (44.4)

-

-

-

1 (11.1)

4 (44.4)

1 (11.1)

1 (11.1)

-

1 (11.1)

4 (44.4)

6 (66.7)

-

-

-

-

-

1 (11.1)

-

1 (11.1)

1 (11.1)

-

Traction/immobilization care

Wound care: burn

Fluid/electrolyte management

Hypotension management

Defibrillator management: external

Open cardiac massage

Pelvic stabilization device

Resuscitative thoracotomy

1 (1.6)

-

-

-

-

-

-

-

-

-

-

2 (11.1)

1 (5.6)

3 (16.7)

1 (5.6)

3 (16.7)

-

-

-

1 (9.1)

-

-

-

-

2 (16.7)

-

1 (8.3)

4 (33.3)

-

1 (8.3)

5 (41.7)

1 (8.3)

-

8 (88.9)

1 (11.1)

1 (11.1)

-

-

-

-

Total=3,4271,821 (100.0)459 (100.0)300 (100.0)384 (100.0)283 (100.0)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분류체계의 영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모든 손상군에서 생리학적: 복합적영역(Physiological: Complex)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두경부 63.2%, 흉부 61.4%, 복부 60.7%, 사지 및 골반부 65.4%, 체표부 68.6%). 다음으로 두경부(13.3%), 흉부(15.7%), 복부(13.7%), 체표부(12.0%) 손상군에서는 안전영역(Safety)이 높았고,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에서는 생리학적:기본영역(Physiological: Basic)이 12.5%로 높게 나타났다(Table 2).

Table 2 . Nursing Domain and Class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VariablesHead & Neck (n=64)Thorax (n=18)Abdomen (n=11)Extremity (n=12)External (skin) (n=9)
n (%)n (%)n (%)n (%)n (%)
Physiological: Basic
Elimination management
Immobility management
Nutrition support
Physical comfort promotion

228 (12.5)

42 (2.3)

74 (4.1)

59 (3.2)

53 (2.9)

51 (11.1)

8 (1.7)

17 (3.7)

15 (3.3)

11 (2.4)

38 (12.7)

7 (2.3)

11 (3.7)

11 (3.7)

9 (3.0)

48 (12.5)

9 (2.3)

19 (4.9)

11 (2.9)

9 (2.3)

33 (11.7)

9 (3.2)

4 (1.4)

11 (3.9)

9 (3.2)

Physiological: Complex
Electrolyte and acid-base management
Drug management
Neurologic management
Preoperative care
Respiratory management
Skin/wound management
Thermoregulation
Tissue perfusion management

1,150 (63.2)

30 (1.6)

216 (11.9)

179 (9.8)

9 (0.5)

147 (8.1)

75 (4.1)

40 (2.2)

454 (24.9)

282 (61.4)

4 (0.9)

38 (8.3)

47 (10.2)

1 (0.2)

42 (9.2)

12 (2.6)

12 (2.6)

126 (27.5)

182 (60.7)

7 (2.3)

37 (12.3)

28 (9.3)

2 (0.7)

18 (6.0)

7 (2.3)

8 (2.7)

75 (25.0)

251 (65.4)

8 (2.1)

47 (12.2)

28 (7.3)

3 (0.8)

38 (10.0)

14 (3.6)

10 (2.6)

103 (26.8)

194 (68.6)

2 (0.7)

44 (15.5)

24 (8.5)

1 (0.4)

25 (8.8)

22 (7.8)

8 (2.8)

68 (24.0)

Behavioral-cont'd
Patient education

112 (6.2)

26 (5.7)

21 (7.0)

18 (4.7)

7 (2.5)
Safety
Crisis management
Risk management

243 (13.3)

6 (0.3)

237 (13.0)

72 (15.7)

11 (2.4)

61 (13.3)

41 (13.7)

-

41 (13.7)

44 (11.5)

2 (0.5)

42 (10.9)

34 (12.0)

-

34 (12.0)

Health system
Health system mediation
Health system management

88 (4.8)

58 (3.2)

30 (1.6)

21 (4.6)

17 (3.7)

4 (0.9)

18 (6.0)

11 (3.7)

7 (2.3)

16 (4.2)

12 (3.1)

4 (1.0)

15 (5.3)

14 (4.9)

1 (0.4)

Non classification-7 (1.5)-7 (1.8)-
Total1,821 (100.0)459 (100.0)300 (100.0)384 (100.0)283 (100.0)


간호중재분류체계의 군별 분포를 살펴보면, 모든 손상군에서 조직관류관리군(Tissue Perfusion Managemen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두경부 24.9%, 흉부 27.5%, 복부 25.0%, 사지 및 골반부 26.8%, 체표부손상군 24.0%). 다음으로 두경부(13.0%), 흉부(13.3%), 복부(13.7%) 손상군에서는 위험관리군(Risk Management)이 높았고, 사지 및 골반부(12.2%), 체표부(15.5%) 손상군에서는 약물관리군(Drug Management)이 높게 나타났다(Table 2).

주 상해 부위별로 적용된 간호중재는 두경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은 100% 수행되었고, 말초감각사정 98.4%, 정맥로확보 96.9%, 감시 95.3%. 심전도부착 93.8%, 호흡기모니터링은 92.2% 수행되었다. 흉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정맥로확보는 100% 수행되었고, 감시,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이 94.4%, 말초감각사정, 수액요법은 88.9% 수행되었다. 복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영양모니터링, 낙상예방, 질환과정에 대한 교육, 입원간호가 100% 수행되었고, 말초감각 사정, 감시,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 채혈-정맥혈 샘플, 채혈-혈액형 검사, 절차/치료에 대한 교육, 수액요법이 90.9% 수행되었다.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에서 100% 수행되었고, 말초감각사정, 정맥로확보, 감시, 채혈-정맥혈 샘플, 채혈-혈액형 검사, 수액요법은 91.7% 수행되었다. 체표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정맥로확보, 선별검사, 영양모니터링, 수액요법, 진통제투여, 급성통증관리, 유치도뇨, 정맥내약물투여(항생제), 피부감시가 100% 수행되었다. 말초감각사정, 감시,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 낙상예방, 입원간호, 저혈량관리, 체온유지, 중심정맥관관리, 화상상처간호는 88.9% 수행되었다(Table 3).

본 연구는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대상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주 상해 부위에 따른 산업재해 발생업종은 제조업이 가장 많았다. 이는 사고사망자의 경우 건설업에서 46.0%, 재해자는 기타 사업에서 37.4% 발생하였다고 보고한 2022년 산업재해 현황 통계(Lee, 2022)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지역적 특성이 다른 지역과는 달리 1960년대 우리나라 산업화 초기부터 정유, 석유화학, 조선, 자동차 등 중화학공업 위주로 제조업에 대한 산업 편중이 특화되어 있어 나타난 차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산업재해 특성 중 보호장구 착용 여부에 대해 대부분의 대상자와 구급대원들이 정확히 기억하지 못해, 대상자들이 작업시간 동안 보호장구를 올바르게 착용했다고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사고원인은 추락사고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보고(Jo, 2019)에 따르면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및 착용이 불량한 상태에서 추락사고로 인한 산업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고 하였는데,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시 추락사고는 대상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재해 및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 개인보호장구 착용은 필수적이며(Sehsah, El-Gilany, & Ibrahim, 2020), 작업 현장 내 안전방호시설 설치 등으로 추락 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Jo, 2019). 더불어 사업장은 안전보건체계를 구축하고 예방 활동을 위해 최소한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을 선임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안전보건 담당자들이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법령에 따른 의무를 준수할 수 있도록 안전보건체계를 구축하고 활동을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또한 이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컨설팅 등의 제도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Jeon, Oh, Jo, Go, & Jeong, 2022; Jo 2019).

셋째, 본 연구에서 주 상해 부위 중 흉부손상군의 경우 진료결과 사망률이 27.8%로 다른 상해 부위 손상군보다 중증도가 높고, 의식상태가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외상 환자의 중증도 평가 및 분류지침에는 생리학적 불안정성, 해부학적 외상 부위, 사고원인 등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 중 생리학적 불안정성 평가 기준이 되는 GCS는 중증외상 환자의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중증 환자 판별에 중요하다(Kim et al, 2015). 중증외상 환자의 예후 판정을 분석한 연구(Lee et al, 2016)에서는 GCS가 예후와 큰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권역외상센터에서 초기 간호중재로 외상 환자의 의식 사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예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내원 시 활력징후 중 두경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이 다른 상해 부위 손상군의 수축기혈압보다 높게 나타났다. 보통 두경부손상과 관련된 고혈압은 이완기혈압보다 수축기혈압의 상승이 큰데, 이는 혈관의 뇌혈량 증가에 의한 뇌부종으로 인해 나타나는 쿠싱반사(Cushing’s triad)의 이차반응이다. 심한 두부외상 환자에게서 지속적 고혈압은 뇌혈량 증가 및 두개내압 상승으로 뇌부종을 더욱 악화시킨다(Kim, 2007). 이에 간호사는 외상 환자의 일차 사정 항목인 활력징후 변화양상을 잘 파악하여 이에 따른 우선순위 간호중재를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Kim & Seo, 2021), 두경부손상 환자의 고혈압 관리 중재가 우선임을 인지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전체 대상자에게 제공된 간호중재를 NI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개 영역, 17개 군, 63개의 중재가 수행되었으며, 이는 NIC의 분류체계 565개의 간호중재의 11.2%에 해당된다. 이는 NIC 분류체계를 이용한 선행연구에서 흉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Kim & Kim, 2021) 9.7%, 복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Jang & Lee, 2021) 10.8%의 간호중재가 분석된 결과와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의 분류 결과 간호 영역과 군에서 생리학적:복합적 영역의 조직관류관리, 약물관리, 안전영역의 위험관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흉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Kim & Kim, 2021)에서 생리학적:복합적 영역의 조직관류관리 14.8%, 약물관리 6.6%, 안전영역의 위험관리 20.1%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외상 환자에게서 활력징후 및 투약, 의사소통 등 대상자에게 직접적으로 행해지는 간호활동이 많음을 의미한다(Cho et al., 2020). 이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전체 대상자에게 100% 수행된 간호중재는 활력징후모니터링과 신경학적모니터링이다. 이는 중증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Kim et al., 2013)와 흉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Kim & Seo, 2021)에서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모니터링 100%, 복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Jang & Lee, 2021)에서 활력징후모니터링 100%, 신경학적모니터링 99.2%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손상에 의한 출혈은 다량의 출혈로 인해 활력징후가 불안정하며 높은 사망률을 보이기 때문에 활력징후모니터링이 중증 응급 환자의 임상지표로 관리되고 있다(Shin, Chaung, & Kim, 2019). 또한,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경우 빠르게 의식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경학적모니터링에서 의식 수준 평가는 환자의 안전과 예후를 위해 중요하다. 이에 응급실 간호사는 중증도가 높게 분류된 환자의 의식을 자주 평가하여 적절한 응급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17). 외상소생구역에 내원하는 모든 산업재해 외상 환자들에게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모니터링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절차/치료에 대한 교육(81.6%) 또한 대상자에게 많이 수행된 간호중재로 나타났다. 예상치 못한 손상을 입은 외상 환자 간호 시, 간호사는 교육을 제공하고 동의를 받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Bae, Lee, & Jang, 2007). 그러나 긴장된 상황 속에서 간호사에게 의존하게 되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앞으로 제공될 치료와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는 것은중요하고 필수적이다(Bae et al, 2007; Ha & Park, 2016). 또한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과 두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그들을 공감하고 이해해 주는 정서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Ha & Park, 2016). 이에 간호사는 응급상황에서도 간호 교육 및 정서적 간호 제공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 분류 결과를 살펴보면, 두경부손상군에서는 다른 상해 부위에 비해 정맥내약물투여(항전간제), 뇌부종관리, 구토관리, 고혈압관리, 정맥내약물투여(삼투성이뇨제)로 직접적인 간호중재가 많이 수행되었다. 중증외상 환자의 간호활동을 분석한 연구(Kim et al, 2013)에서도 두경부손상군에서 뇌압상승징후사정, 30도머리상승 중재가 많았는데, 이는 두개내압 상승과 연관이 있다. 외상성 두부손상은 두피, 두개골 및 뇌에 직접적인 일차적 손상(primary damage)과 생체반응으로 나타나는 이차적 손상(secondary damage)으로 나누어지며, 환자의 생존 및 기능 회복을 위해 두개내압을 낮추고 적절한 뇌관류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Kim, Chung, Huh, & Cho, 2008). 이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며,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침대 머리를 30도 높이거나 반좌위 체위를 시행하고, 만니톨을 통한 고삼투압 요법이 제공되어야 한다(Lizzo, Waseem, & Tatikonda, 2023).

흉부손상군에서는 심장관리:급성, 응급간호 ․ 심폐소생술, 흉관삽관 간호, 소생개흉술 준비, 개흉심장 마사지준비 간호중재가 높게 나타났다. 흉부외상 환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를 분석한 연구(Kim & Kim, 2021)에서는 튜브관리: 흉부, 심장관리급성, 소생술, 소생개흉술, 개흉심장 마사지가 있었고, 중증흉부외상 환자 간호중재를 분석한 연구(Kim & Seo, 2021)에서는 튜브간호:흉곽, 소생개흉술이 있었다. 이처럼 흉관삽관은 흉부외상 환자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처치이므로, 필요 시 즉각적 처치를 위해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며(Kim & Kim, 2021), 개흉심장 마사지 시행 시 간호사는 패들 및 심장 내 주사를 위한 약물을 준비하고, 소요시간, 전기쇼크 횟수, 투여된 약물의 양, 환자의 반응을 기록해야 한다(D'Souza & Law, 2023). 또한 흉부 외상 환자 간호중재 개발 시 흉관삽관 간호와 개흉심장 마사지 준비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가 있다(Kim & Kim, 2021).

복부손상군에서는 정맥로확보, 중심정맥관관리, 수액요법 간호중재가 많이 수행되었는데, 이는 저혈량증과 관련이 있었다. 복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Jang, & Lee, 2021)에서도 간호중재 중 수액소생술, 정맥로확보, 중심정맥관관리가 높게 나타났다. 복강 내 구조는 혈관이 많고 외상 후 손상으로 인해 생명을 위협하는 저혈량증이 발생할 수 있다(Dowds, 1994). 정맥로확보 및 중심정맥관을 통한 수액요법은 이같은 저혈량증에 일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생요법인 간호중재이다(Jang & Lee, 2021). 응급실 간호사는 복부손상군 환자 사정 시 저혈량증의 징후로 나타나는 빠르고 약한 맥박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며, 신속하게 환자 상태를 평가하고 정맥로확보 등 즉각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Dowds, 1994; Jang & Lee, 2021).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에서는 채혈-혈액형검사, 침습적혈류역학모니터링, 동맥혈채혈, 체온유지, 골반고정밴드적용 및 관리, 수혈간호 ․ 저혈압관리, 견인장치/부동 간호중재가 많이수행되었는데, 이 간호중재들은 출혈을 중재하기 위한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골반 외상은 골절이나 골반내 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여, 대량 출혈을 야기하게 되는데, 이는 출혈성 쇼크로 인한 대사성 산증, 저체온, 응고 장애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된다(Hwang, Kim, & Park, 2023; Kang, Yeom, Jo, & Kim, 2016). 이에 불안정형 골반 골절에 의한 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골반의 용적을 줄이거나 골반고리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초기 처치로는 병원 도착 전부터 골반천이나 골반고정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Hwang et al, 2023).

본 연구에서 체표부손상군에서 수행된 중재 중 수액요법, 급성통증관리, 진통제투여, 화상상처간호, 퇴원간호, 상처세척, 기도삽입 및 안정화․ 침습적 인공호흡기 관리 ․ 기도흡인 간호중재가 높게 나타났고, 이 중 퇴원간호는 66.7%로 화상전문센터로의 전원이었다. 중증 화상은 단일 외상 중에서 가장 위중한 질환이며 체표부 손상으로 인한 방어기전으로 패혈증 등의 합병증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외상 중 하나이다(Oh & Kym, 2020). 따라서, 활력징후모니터링, 화상상처소독, 통증조절 등을 대상자에게 제공하여 질 높은 간호가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Costa et al., 2023), 화상전문센터로의 전원과정까지 의료진의 책임감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타 의료기관으로의 전원은 주의의무가 요구되는 중요한 법적인 업무이고, 정보전달과 관련한 오류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이에 전원 관련 환자 안전의 중요성과 올바른 안전간호 수행방법을 구체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상 환자 생존율에 있어 초기 사정과 처치가 중요한 만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산업재해 환자들의 특성, 주 상해 부위에 따라 수행된 간호중재를 확인하여 외상소생구역에 내원한 대상자를 분석하였다. 이에 산업재해와 관련하여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외상간호 교육과 산업재해 외상 환자의 초기 사정,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 및 프로토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어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일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환자에게 실제로 수행되었지만 기록이 누락된 간호중재들을 모두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복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구역에 내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제 특성을 파악하고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를 파악할 수 있었다. 모든 군에서 100% 수행된 간호중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과 신경학적 모니터링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증외상 환자 초기 사정 시 필수적인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 모니터링을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여, 간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응급 처치 및 간호중재를 적용해야 한다. 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 간호중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에 초기 사정 및 상해 부위별 간호중재 프로토콜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산업재해 환자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개인보호장구 착용 의무화 및 산업안전 예방 ․ 대응 역량 강화 교육뿐만 아니라 관리감독자 규제 강화와 교육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일 지역 권역외상센터에 국한되었기에 지역을 확대하여 지속적으로 간호중재를 분석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 사정과 간호중재 내용을 바탕으로 외상센터 간호사 대상 교육자료 및 간호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타당성 확립을 위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직업군에 따라 산업재해 위험요인과 산업재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직업군에 따른 산업재해 간호중재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1. Bae, H. A., Lee, S. B., & Jang, H. Y., assignee. (2007). Resolving conflicts between informed consent and patients' privacy in medical emergenci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0(1), 73-82. https://doi.org/10.35301/ksme.2007.10.1.73
    CrossRef
  2. Baker, S. P., O'Neill, B., , W., & Long, W. B., assignee. (1974). The injury severity score: a method for describing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and evaluating emergency care. The Journal of Trauma, 14(3), 187-196.
    CrossRef
  3. Butcher, H. K., Bulechek, G. M., Dochterman, J. M., & Wagner, C., assignee. (2016).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7th ed.. Cambridge, MA: Elsevier.
    CrossRef
  4. Cho, J. W., assignee. (2009). A study on causal effects of safety training and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affecting industrial inci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5. Cho, S. H., Lee, J. Y., Hong, K. J., Yoon, H. J., Sim, W. H., & Kim, M. S., et al, assignee. (2020). Determining nurse staffing by classifying patients based on their nursing care nee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1), 42-54.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42
    CrossRef
  6. Costa, P. C. P., Barbosa, C. S., Ribeiro, C. D. O., Silva, L. A. A. D., Nogueira, L. D. A., & Kalinke, L. P., assignee. (2023). Nursing care directed to burned patients: a scoping review.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76(3), 1-8. https://doi.org/10.1590/0034-7167-2022-0205
    Pubmed KoreaMed CrossRef
  7. Dowds, P., assignee. (1994). Blunt abdominal trauma.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2), 63-69. https://doi.org/10.1016/0965-2302(94)90062-0
    Pubmed CrossRef
  8. D'Souza, R. S., & Law, L., assignee. (2023). Open heart massage. StatPearls Publishing, Treasure Island, FL.
    CrossRef
  9.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assignee. (2017). Emergency nursing core curriculum. 7th ed.. .). Cambridge, MA: Elsevie.
    CrossRef
  10. Ha, J. H., & Park, H. S., assignee. (2016). An ethnography on daily lives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48-459. https://doi.org/10.7739/jkafn.2016.23.4.448
    CrossRef
  11. Hwang, J. H., Kim, J. H., & Park, S. H., assignee. (2023). Interventional management for pelvic trau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 84(4), 835-845. https://doi.org/10.3348/jksr.2023.0032
    Pubmed KoreaMed CrossRef
  12. Jang, M. J., & Lee, Y. W., assignee. (2021).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bdominal trauma.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9(2), 17-36. https://doi.org/10.31148/kjmnr.2021.39.2.17
    CrossRef
  13. Jeon, Y. I., Oh, G. T., Jo, H. H., Go, J. S., & Jeong, N. W., assignee. (2022). Strategies for improv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response to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transition (Final report). Republic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4. Jo, Y. H., assignee. (2019). Analysi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by type (2019-1467).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5. Kang, W. S., Yeom, J. W., Jo, Y. G., & Kim, J. C., assignee. (2016). Pathophysiology of hemorrhagic shock. Journal of Acute Care Surgery, 6(1), 2-6. https://doi.org/10.17479/jacs.2016.6.1.2
    CrossRef
  16. Kim, D. M., & Seo, E. J., assignee. (2021).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in trauma-bay at the regional trauma center for patients with severe thoracic injuri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3(2), 138-150. https://doi.org/10.7586/jkbns.2021.23.2.138
    CrossRef
  17. Kim, G. T., assignee. (2007). Management of head injur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0(8), 692-701.
    CrossRef
  18. Kim, K. U., & Kim, Y. H., assignee. (2021).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oracic injury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s using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by emergency room typ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3(4), 257-266. https://doi.org/10.7586/jkbns.2021.23.4.257
    CrossRef
  19. Kim, M. H., Kim, M. H., & Park, J. H., assignee. (2013).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the main damaged body par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4), 210-218. https://doi.org/10.7586/jkbns.2013.15.4.210
    CrossRef
  20. Kim, S. Y., So, B. H., Kim, H. M., Jeong, W. J., Cha, K. M., & Choi, S. P., assignee. (2015). Evaluation the usefulness of individual factors for determining the severity and predicting prognosis of trauma victims.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28(3), 134-143.
    CrossRef
  21. Kim, T. G., Chung, S. S., Huh, R., & Choi, J. U., assignee. (2008).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Neurocritical Care, 1, 56-62.
    CrossRef
  22. Lee, H. S., assignee. (2022).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trends employment and labor. Retrieved July 1, 2023, from https://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30300058
  23. Lee, S. H., Park, J. M., Park, J. S., Kim, K. H., Shin, D. W., & Jeon, W. C., et al, assignee. (2016). Utility of the rapid emergency medicine score (REMS) for predicting hospital mortality in severely injured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 27(2), 199-205.
  24. Lizzo, J. M., Waseem, M., & Tatikonda, G., assignee. (2023). Brain Trauma (Nursing). StatPearls Publishing, Treasure Island, FL.
  25.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ssignee. (2020). Regional trauma center evaluation guid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26.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ssignee. (2022). Retrieved Oct 1, 2023, from https://www.e-gen.or.kr/nemc/business_others.do?contentsno=85
  27. Oh, S. Y., & Kym, D. H., assignee. (2020). Serum lactate, creatinine and urine output: early predictors of mortality after initial fluid resuscitation in severe burn patient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3(1), 1-6. https://doi.org/10.47955/jkbs.20.0008
    CrossRef
  28. Sehsah, R., El-Gilany, A. H., & Ibrahim, A. M., assignee. (2020).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use and its relation to accidents among construction workers. La Medicina Del Lavoro, 111(4), 285-295. htts://doi.org/10.23749/mdl.v111i4.9398.
  29. Shin, Y. H., Chaung, S. K., & Kim, H. J., assignee. (2019). Critical review I to standardize the textbooks of fundamentals of nursing: Vital sign assessment, body temperature regulation, oxyge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6(4), 282-300. https://doi.org/10.7739/jkafn.2019.26.4.282
    CrossRef
  30. Yang, S. K., assignee. (2022).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severe trauma patients before operated in trauma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Article

Article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24; 33(4): 173-182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5807/kjohn.2024.33.4.173

Copyright ©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Trauma Patie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

Kim, Moo Seong1 · Kim, Hye-Jin2

1Nurse, Trauma Intensive Care Unit, Ulsan University Hospital, Ulsan, Korea
2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Correspondence to:Kim, Hye-Jin https://orcid.org/0000-0001-7088-2692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93 Daehak-ro, Nam-gu, Ulsan 44610, Korea.
Tel: +82-52-259-1259, Fax: +82-52-259-1236, E-mail: kk02khj@ulsan.ac.kr

- 이 논문은 제1저자 김무성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임.
- This article is article is based on a part of the 1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University.

Received: August 19, 2024; Revised: October 21, 2024; Accepted: November 6,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evere industrial accident trauma who visited the trauma resuscitation department of a regional trauma center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system. Methods: Among the 15,721 patients who visited the regional trauma center at U University Hospital in U City from January 1, 2021 to December 31, 2022,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114 patients with severe industrial accident trauma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Nursing intervention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using the NIC system based on the patients` main injury site. Results: A total of 3,247 nursing interventions(classified into five areas, 17 groups, and 69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in injury site.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interventions were physiological: complex. Next, safety, physiological: basic, behavioral, and health system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in that order.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trauma.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tandardized nursing interventions and the overall quality of nursing care.

Keywords: Occupational accidents, Multiple trauma, Trauma nursing, Nursing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이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산업재해 중 중공업, 건설, 조선 등의 특정 사업장에서 주로 빈발하는 중대 재해는 재해 정도가 심하여 사고 발생 시 중증외상과 사망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Cho, 2009).

2021년 우리나라 중증외상 환자는 8,906건으로 전체 외상 환자의 3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정부는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줄이고자, 2021년 기준 17개의 권역외상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22). 중증외상 환자의 경우 다발성 외상 환자가 많아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생명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처치와 손상 부위 사정, 치료 및 간호 활동이 동시다발적으로 행해져야 한다(Kim, Kim, & Park, 2013). 이처럼 산업재해로 인한 중증외상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환자 예후에 중요하기 때문에, 중증외상 환자가 외상소생구역 내원 후 최대 30분 안에 의료진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여, 치료와 처치를 시행해야 한다(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20). 따라서 권역외상센터 간호사는 중증외상 환자의 간호문제 및 중재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어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Jang & Lee, 2021).

간호중재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는 실무에 근거하여 귀납적으로 개발된 간호중재 분류체계로, 각 분야에서 행하는 간호를 표준화된 간호중재로 설명할 수 있게 한 도구이다(Jang & Lee, 2021). NIC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활용되었으며, 간호진단 및 결과라는 연속 선상에서 이용될 수 있어 간호실무와 교육 및 연구에서 유용한 체계이다(Butcher, Bulechek, Dochterman, & Wagner, 2016). NIC를 통한 표준화된 간호중재 분석은 추후 체계적인 간호 실무지침에 이용될 수 있고, 응급상황에 노출되는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업무지침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Yang, 2022). 따라서 복잡한 특성을 갖는 중증외상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중재를 분석하고 표준화하는 것은 중요하다(Yang, 2022).

최근 국내외에서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무 현장과 환자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Kim et al, 2013). 더불어 침습적인 치료 및 처치의 발달로 인해 간호중재에도 많은 변화가 있으므로(Jang & Lee, 2021), 외상간호 연구와 교육에 이러한 최신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NIC를 외상 환자에 적용한 간호 연구로는 응급실 유형에 따른 흉부외상 환자 간호중재 분석(Kim & Kim, 2021), 복부외상 환자 간호중재 분석(Jang & Lee, 2021), 중증 흉부외상 환자 간호중재 분석(Kim & Seo, 2021) 등으로 단일 부위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특성 및 이들에게 제공되는 처치와 간호중재를 파악하여,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에게 수행되는 간호중재의 내용과 빈도를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더불어 간호중재 분석을 통해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를 위한 간호업무를 정립하는데 기초자료 및 교육자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일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중 간호수행과 간호기록을 간호중재분류체계인 NIC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U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산업재해로 내원한 중증외상 환자의 외상등록체계 및 EMR을 바탕으로 하였다. 전체 외상 환자 15,721명 중 최종 손상중증도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15점 이하에 해당되는 경증 외상 환자 14,842명과 내원기준이 산업재해가 아닌 환자 732명을 제외하였다. 또한 주 상해 부위가 한 부위가 아닌 여러 부위로 중복된 환자의 경우 상해 부위에 적용된 간호중재분류가 불분명해지므로, 모든 상해 부위의 간이손상척도(Abbreviated Injury Scale, AIS) 값을 구하여, 주 상해 부위가 여러 부위인 환자를 제외하였다(Kim et al, 2013). 이에 주 상해 부위가 여러 부위인 환자 33명을 제외한 최종 114명을 선정하여 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3. 연구도구

1) 대상자의 제 특성

대상자의 제 특성인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산업재해 특성은 선행연구(Jang & Lee, 2021; Kim et al., 2013; Kim & Kim, 2021; Kim & Seo, 2021)를 참고하여 나이, 내원경로, 내원수단, 외상센터 사전연락여부, 외상소생구역 체류시간, 수혈여부, 주 진료과, 치료계획 및 결과, ISS, 글라스고우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 의식수준, 외상소생구역 내원시 첫 활력징후, 보호장구착용 유무, 산업재해업종, 사고원인 총 1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ISS는 환자의 진단명을 기준으로 AIS의 코드와 일치되는 항목을 이용하여 계산한 점수로(Baker et al., 1974). 계산 시에는 코딩 원칙에 따라 6개 구획인 두경부,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및 골반부, 체표부(피부)로 분류하게 된다. 계산 공식은 AIS의 가장 높은 중증도 점수 상위 3개의 제곱 값의 합으로 구한다. ISS는 0~75점 사이에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손상이 심하다는 의미로 16점 이상은 중증외상 환자로 인정하고 있다(Baker et al, 1974).

2) 간호중재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본 연구에서는 외상소생구역 간호사들이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모든 간호활동을 Butcher 등(2016)이 개발한 NIC 7판의 565개의 간호중재 목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NIC는 모든 분야의 간호사가 수행하고 있는 간호행위에 대해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언어체계이며, 직접 및 간접 간호중재, 그리고 일반적 간호실무와 세분화된 간호실무 분야의 간호중재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7개의 영역(Domain)과 30개의 군(Class), 565개의 간호중재(Intervention)로 분류하였다.

4. 자료수집

본 연구는 해당 기관 윤리심의위원회 연구 승인을 받은 후 자료조사를 시작하였다(IRB No. 2023-05-023-002). 연구의 자료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U 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 EMR 중 내원정보조사지, 간호수행 목록, 간호기록지에서 연구자가 직접 의미있는 자료를 추출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EMR을 통해 상해 부위마다 AIS를 부여하여 최종 ISS를 계산하였다. 이 중 ISS 16점 이상 중증외상 환자의 외상센터 내원유형 및 내원정보조사지를 통해 산업재해로 내원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제 특성은 EMR을 보고 연구자가 조사지에 기입하였으며, 간호중재는 간호수행 목록 및 간호기록지에 작성된 내용을 바탕으로 수집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간호중재는 외상소생구역 입실부터 퇴실까지 간호수행 목록 및 간호기록지에 작성된 모든 간호활동을 본 연구자와 연구보조 1인이 분류한 후 간호학과 교수와 확인하였다. 연구자 간의 간호중재분류의 타당도 확인을 위해 임의로 대상자 10인의 EMR에서 수집한 간호중재를 NIC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자 간의 일치도는 97.2%였다. 일치하지 않은 간호중재 항목에 대해서는 간호학과 교수와 논의 후 채택 여부를 결정하였다. 수집된 간호중재는 NIC 7판을 이용하여 해당 중재를 찾아 상위 개념인 군과 영역을 찾아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제 특성, 중증도 점수,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주 상해 부위에 따른 대상자의 제 특성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두경부손상군이 56.3세로 가장 많았고, 체표부손상군이 45.8세로 가장 적었으며, 주 상해 부위 손상군 간의 차이가 있었다(p=.043). 대상자의 치료계획 및 결과는 두경부(64.1%), 흉부(50.0%), 복부(45.5%),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58.3%)의 경우 중환자실 입실이 가장 많았으며, 체표부손상군은 전원이 가장 많았다(77.8%).

임상적 특성 중 GCS는 복부손상군의 경우 14.9점으로 가장 높았고, 흉부손상군이 10.8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주 상해 부위 손상군 간의 차이가 있었다((p=.009). 전체 대상자 중 응급 소생술을 시행한 10명을 제외한 104명의 외상소생구역 내원 시 첫 활력징후를 분석한 결과, 두경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이 148.0 mmHg로 흉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 126.2 mmHg와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 123.9 mmHg보다 높았다(p=.043). 대상자의 심박동수는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의 경우 97.0회/분, 체표부손상군의 경우 100.7회/분으로 두경부손상군 81.4회/분보다 높았다(p=.029).

산업재해 특성 중 대상자의 보호장구 착용 여부는 모든 군에서 미상이 가장 많았고, 산업재해 발생업종은 제조업(두경부 46.9%, 흉부 50.0%, 복부 54.5%, 체표부손상군 66.7%)이 가장 많았다.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에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41.7%로 동일했다. 사고원인은 추락사고(두경부 60.9%, 흉부 55.6%,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58.3%)로 인한 손상이 가장 많았고, 체표부손상군의 경우 화상사고로 인한 손상이 88.9%로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VariablesCategoriesHead & Necka (n=64)Thoraxb (n=18)Abdomenc (n=11)ExtremityD (n=12)External (skin)e (n=9)p
n (%) or M±SDn (%) or M±SDn (%) or M±SDn (%) or M±SDn (%) or M±SD
Age (year)56.3±10.2452.8±11.7851.1±8.8551.3±17.5345.8±11.67.043e
Admission route

Direct admission.

Transfer.

41 (64.0).

23 (36.0).

12 (66.7).

6 (33.3).

8 (72.7).

3 (27.3).

9 (75.0).

3 (25.0).

9 (100.0).

-.

-
Admission mode

119 ambulance.

Other ambulance.

Company ambulance.

38 (59.4).

22 (34.3).

4 (6.3).

10 (55.6).

6 (33.3).

2 (11.1).

6 (54.5).

4 (36.4).

1 (9.1).

7 (58.3).

3 (25.0).

2 (16.7).

4 (44.5).

2 (22.2).

3 (33.3).

-
Prior contact with trauma center

Yes.

No.

35 (54.7).

29 (45.3).

13 (72.2).

5 (27.8).

8 (72.7).

3 (27.3).

10 (83.3).

2 (16.7).

7 (77.8).

2 (22.2).

-
Lapse time (mins)145.4±137.80124.6±149.12174.7±175.4093.8±37.1868.2±17.93.105
Transfusion

Yes.

No.

3 (4.7).

61 (95.3).

3 (16.7).

15 (83.3).

4 (36.4).

7 (63.6).

8 (66.6).

4 (33.4).

1 (11.1).

8 (88.9).

-
Main treatment partTS NS OS EM

8 (12.5).

53 (82.8).

2 (3.1).

1 (1.6).

15 (83.3).

2 (11.1).

1 (5.6).

-.

4 (36.4).

6 (54.5).

1 (9.1).

-.

10 (83.4).

-.

1 (8.3).

1 (8.3).

9 (100.0).

-.

-.

-.

-
Treatment plan & results

GW.

ICU.

OR.

Transfer.

Death.

DOA.

9 (14.1).

41 (64.1).

10 (15.6).

-.

3 (4.7).

1 (1.5).

3 (16.7).

9 (50.0).

1 (5.6).

-.

5 (27.8).

-.

3 (27.3).

5 (45.4).

3 (27.3).

-.

-.

-.

-.

7 (58.3).

2 (16.7).

2 (16.7).

-.

1 (8.3).

-.

1 (11.1).

1 (11.1).

7 (77.8).

-.

-.

-
ISS26.0±10.4531.6±21.7620.3±5.6629.4±9.4128.8±19.32.142
GCS11.8±4.2310.8±5.9214.9±0.3011.4±4.1214.7±0.71.009a,b,d
LOC

Alert.

Confuse.

Drowsy.

Stupor.

Semi-coma.

Coma.

28 (43.8).

8 (12.5).

11 (17.2).

11 (17.2).

2 (3.1).

4 (6.2).

11 (61.0).

1 (5.6).

-.

1 (5.6).

-.

5 (27.8).

10 (90.9).

-.

1 (9.1).

-.

-.

-.

4 (33.4).

2 (16.7).

1 (8.3).

3 (25.0).

1 (8.3).

1 (8.3).

7 (77.8).

2 (22.2).

-.

-.

-.

-.

-
Vital sign (n=104)

SBP (mmHg).

DBP (mmHg).

HR (beat/min).

RR (breaths/min).

BT (℃).

SpO2 (%).

148.0±28.31.

93.6±19.96.

81.4±17.01.

19.2±3.67.

36.5±0.48.

97.9±2.84.

126.2±26.27.

84.2±20.11.

88.0±20.46.

20.7±3.01.

36.6±0.40.

96.2±3.30.

135.5±30.53.

88.9±23.27.

81.2±18.09.

19.8±4.49.

36.4±0.25.

97.5±2.46.

123.9±26.25.

86.4±26.23.

97.0±24.99.

23.5±7.33.

36.6±0.25.

98.3±2.57.

141.0±34.29.

80.2±20.66.

100.7±20.07.

20.4±5.18.

36.3±0.30.

98.3±2.60.

.043b,d.

.363.

.029a.

.230.

.619.

.178.

Protective gear

Yes.

No.

Unknown.

8 (12.5).

5 (7.8).

51 (79.7).

1 (5.6).

1 (5.6).

16 (88.8).

1 (9.1).

-.

10 (90.9).

2 (16.7).

-.

10 (83.3).

-.

1 (11.1).

8 (88.9).

-
Type of occupational

Construction.

Express.

Shipbuilding.

Manufacturing.

Other.

14 (21.9).

6 (9.4).

7 (10.9).

30 (46.9).

7 (10.9).

3 (16.7).

1 (5.6).

2 (11.1).

9 (50.0).

3 (16.7).

3 (27.3).

-.

1 (9.1).

6 (54.5).

1 (9.1).

5 (41.7).

-.

2 (16.6).

5 (41.7).

-.

1 (11.1).

-.

2 (22.2).

6 (66.7).

-.

-
Mechanism of injury

Fall down.

Slip down.

Struck.

Machine.

Pedestrian.

TA Burn.

39 (60.9).

4 (6.3).

15 (23.4).

4 (6.3).

2 (3.1).

-.

10 (55.6).

-.

6 (33.3).

1 (5.6).

1 (5.6).

-.

5 (45.5).

-.

6 (54.5).

-.

-.

-.

7 (58.3).

-.

2 (16.7).

1 (8.3).

2 (16.7).

-.

-.

-.

-.

-.

1 (11.1).

8 (88.9).

-

BT=Body temperature; DBP=Diastolic blood pressure; DOA=Dead on arrival; EM=Emergency medicine; GCS=Glasgow Coma Scale;.

GW=General ward; HR=Heart rate; ICU=Intensive care units; ISS=Injury Severity Score; LOC=Level of consciousness); NS=Neurosurgery;.

OR=Operating rooms; OS=Orthopedic surgery; RR=Respiratory rate; SBP=Systolic blood pressure; SD=Standard deviation; SpO2=Saturation by pulse oximetry; TA=Traffic accident; TC=trauma center; TS=Trauma surgery; Excluded fro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griculture/water supply industry/electricity/gas..



2.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 분류

대상자의 EMR에서 도출된 간호중재는 총 3,247건이었다. NIC 기준 7개 영역 중 가족 및 지역사회 영역을 제외한 5개 영역, 17개 군, 62개의 중재가 나타났으며, NIC에서 분류되지 않은 3개의 중재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맥내 약물투여를 NIC 기준에서 더욱 세분화하였으며, 총 69개의 간호중재를 Table 3에 기재하였다.

Table 3 . Nursing Intervention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Nursing interventionHead & Neck (n=64)Thorax (n=18)Abdomen (n=11)Extremity (n=12)External (skin) (n=9)
n (%)n (%)n (%)n (%)n (%)

Neurologic monitoring.

Vital signs monitoring.

Peripheral sensation management.

IV insertion.

Surveillance.

Hemodynamic regulation.

Respiratory monitoring.

Phlebotomy: venous blood sample.

Phlebotomy: blood unit acquisition.

Health screening.

Nutritional monitoring.

Teaching: procedure/treatment.

Fluid management.

Fall prevention.

Teaching: disease process.

Admission care.

Invasive hemodynamic monitoring.

Phlebotomy: arterial blood sample.

Positioning.

Analgesic administration.

Pain management: acute.

Hypovolemia management.

Hypothermia treatment.

Urinary catheterization.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antibiotic).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hemostatic).

Positioning: neurologic.

Hypoglycemia management.

Transport interfacility.

Skin surveillance.

64 (100.0).

64 (100.0).

63 (98.4).

62 (96.9).

61 (95.3).

60 (93.8).

59 (92.2).

58 (90.6).

58 (90.6).

57 (89.1).

57 (89.1).

57 (89.1).

55 (85.9).

55 (85.9).

55 (85.9).

54 (84.4).

49 (76.6).

49 (76.6).

46 (71.9).

42 (65.6).

42 (65.6).

42 (65.6).

40 (62.5).

39 (60.9).

34 (53.1).

34 (53.1).

34 (53.1).

30 (46.9).

30 (46.9).

29 (45.3).

18 (100.0).

18 (100.0).

16 (88.9).

18 (100.0).

17 (94.4).

17 (94.4).

17 (94.4).

14 (77.8).

14 (77.8).

14 (77.8).

13 (72.2).

12 (66.7).

16 (88.9).

12 (66.7).

14 (77.8).

12 (66.7).

10 (55.6).

12 (66.7).

9 (50.0).

11 (61.1).

11 (61.1).

8 (44.4).

12 (66.7).

8 (44.4).

6 (33.3).

5 (27.8).

11 (61.1).

4 (22.2).

4 (22.2).

5 (27.8).

11 (100.0).

11 (100.0).

10 (90.9).

8 (72.7).

10 (90.9).

10 (90.9).

10 (90.9).

10 (90.9).

10 (90.9).

9 (81.8).

11 (100.0).

10 (90.9).

10 (90.9).

11 (100.0).

11 (100.0).

11 (100.0).

9 (81.8).

8 (72.7).

6 (54.6).

9 (81.8).

9 (81.8).

5 (45.5).

8 (72.7).

7 (63.6).

7 (63.6).

7 (63.6).

7 (63.6).

7 (63.6).

7 (63.6).

3 (27.3).

12 (100.0).

12 (100.0).

11 (91.7).

11 (91.7).

11 (91.7).

12 (100.0).

12 (100.0).

11 (91.7).

11 (91.7).

10 (83.3).

9 (75.0).

8 (66.7).

11 (91.7).

9 (75.0).

10 (83.3).

9 (75.0).

10 (83.3).

10 (83.3).

8 (66.7).

9 (75.0).

9 (75.0).

8 (66.7).

10 (83.3).

9 (75.0).

8 (66.7).

8 (66.7).

5 (41.7).

8 (66.7).

4 (33.3).

6 (50.0).

9 (100.0).

9 (100.0).

8 (88.9).

9 (100.0).

8 (88.9).

8 (88.9).

8 (88.9).

6 (66.7).

6 (66.7).

9 (100.0).

9 (100.0).

2 (22.2).

9 (100.0).

8 (88.9).

5 (55.6).

8 (88.9).

7 (77.8).

7 (77.8).

2 (22.2).

9 (100.0).

9 (100.0).

8 (88.9).

8 (88.9).

9 (100.0).

9 (100.0).

7 (77.8).

7 (77.8).

2 (22.2).

1 (11.1).

9 (100.0).

Wound care.

Oxygen therapy.

Medication administration: IM.

Airway suction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anticonvulsants).

Central venous access device management.

Anesthesia administration.

Airway insertion and stabilization.

Bed rest care.

Mechanical ventilation management: invasive.

Cerebral edema management.

Suturing.

Vomiting management.

Surgical preparation.

Fluid resuscitation.

Hypertension management.

Splint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osmotic diuretic).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steroid).

Wound irrigation.

Discharge planning.

Cardiac care: acute.

Emergency care.

Resuscitation.

Self-care assistance: toileting.

Tube care chest.

Blood products administration.

Medication administration: IO.

Nasogastric intubation.

Tube care: gastrointestinal.

Nausea management.

27 (42.2).

26 (40.6).

25 (39.1).

22 (34.4).

22 (34.4).

21 (32.8).

21 (32.8).

19 (29.7).

19 (29.7).

18 (28.1).

18 (28.1).

13 (20.3).

10 (15.6).

9 (14.1).

8 (12.5).

8 (12.5).

8 (12.5).

8 (12.5).

7 (10.9).

6 (9.4).

4 (6.3).

3 (4.7).

3 (4.7).

3 (4.7).

3 (4.7).

3 (4.7).

2 (3.1).

2 (3.1).

1 (1.6).

1 (1.6).

1 (1.6).

5 (27.8).

8 (44.4).

5 (27.8).

7 (38.9).

-.

8 (44.4).

2 (11.1).

4 (22.2).

4 (22.2).

2 (11.1).

2 (11.1).

2 (11.1).

-.

1 (5.6).

7 (38.9).

-.

4 (22.2).

-.

1 (5.6).

-.

5 (27.8).

6 (33.3).

5 (27.8).

5 (27.8).

-.

4 (22.2).

2 (11.1).

-.

1 (5.6).

1 (5.6).

-.

3 (27.3).

6 (54.6).

6 (54.6).

1 (9.1).

-.

5 (45.5).

1 (9.1).

1 (9.1).

3 (27.3).

-.

-.

1 (9.1).

-.

2 (18.2).

2 (18.2).

-.

2 (18.2).

-.

2 (18.2).

-.

-.

1 (9.1).

-.

-.

-.

-.

1 (9.1).

-.

-.

-.

-.

6 (50.0).

8 (66.7).

9 (75.0).

5 (41.7).

-.

7 (58.3).

6 (50.0).

5 (41.7).

6 (50.0).

5 (41.7).

-.

1 (8.3).

-.

3 (25.0).

9 (75.0).

-.

3 (25.0).

-.

-.

1 (8.3).

3 (25.0).

1 (8.3).

1 (8.3).

1 (8.3).

-.

3 (25.0).

4 (33.3).

-.

1 (8.3).

1 (8.3).

-.

1 (11.1).

5 (55.6).

7 (77.8).

4 (44.4).

-.

8 (88.9).

3 (33.3).

4 (44.4).

1 (11.1).

4 (44.4).

-.

-.

-.

1 (11.1).

4 (44.4).

1 (11.1).

1 (11.1).

-.

1 (11.1).

4 (44.4).

6 (66.7).

-.

-.

-.

-.

-.

1 (11.1).

-.

1 (11.1).

1 (11.1).

-.

Traction/immobilization care.

Wound care: burn.

Fluid/electrolyte management.

Hypotension management.

Defibrillator management: external.

Open cardiac massage.

Pelvic stabilization device.

Resuscitative thoracotomy.

1 (1.6).

-.

-.

-.

-.

-.

-.

-.

-.

-.

-.

2 (11.1).

1 (5.6).

3 (16.7).

1 (5.6).

3 (16.7).

-.

-.

-.

1 (9.1).

-.

-.

-.

-.

2 (16.7).

-.

1 (8.3).

4 (33.3).

-.

1 (8.3).

5 (41.7).

1 (8.3).

-.

8 (88.9).

1 (11.1).

1 (11.1).

-.

-.

-.

-.

Total=3,4271,821 (100.0)459 (100.0)300 (100.0)384 (100.0)283 (100.0)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분류체계의 영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모든 손상군에서 생리학적: 복합적영역(Physiological: Complex)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두경부 63.2%, 흉부 61.4%, 복부 60.7%, 사지 및 골반부 65.4%, 체표부 68.6%). 다음으로 두경부(13.3%), 흉부(15.7%), 복부(13.7%), 체표부(12.0%) 손상군에서는 안전영역(Safety)이 높았고,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에서는 생리학적:기본영역(Physiological: Basic)이 12.5%로 높게 나타났다(Table 2).

Table 2 . Nursing Domain and Class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VariablesHead & Neck (n=64)Thorax (n=18)Abdomen (n=11)Extremity (n=12)External (skin) (n=9)
n (%)n (%)n (%)n (%)n (%)
Physiological: Basic
Elimination management
Immobility management
Nutrition support
Physical comfort promotion

228 (12.5).

42 (2.3).

74 (4.1).

59 (3.2).

53 (2.9).

51 (11.1).

8 (1.7).

17 (3.7).

15 (3.3).

11 (2.4).

38 (12.7).

7 (2.3).

11 (3.7).

11 (3.7).

9 (3.0).

48 (12.5).

9 (2.3).

19 (4.9).

11 (2.9).

9 (2.3).

33 (11.7).

9 (3.2).

4 (1.4).

11 (3.9).

9 (3.2).

Physiological: Complex
Electrolyte and acid-base management
Drug management
Neurologic management
Preoperative care
Respiratory management
Skin/wound management
Thermoregulation
Tissue perfusion management

1,150 (63.2).

30 (1.6).

216 (11.9).

179 (9.8).

9 (0.5).

147 (8.1).

75 (4.1).

40 (2.2).

454 (24.9).

282 (61.4).

4 (0.9).

38 (8.3).

47 (10.2).

1 (0.2).

42 (9.2).

12 (2.6).

12 (2.6).

126 (27.5).

182 (60.7).

7 (2.3).

37 (12.3).

28 (9.3).

2 (0.7).

18 (6.0).

7 (2.3).

8 (2.7).

75 (25.0).

251 (65.4).

8 (2.1).

47 (12.2).

28 (7.3).

3 (0.8).

38 (10.0).

14 (3.6).

10 (2.6).

103 (26.8).

194 (68.6).

2 (0.7).

44 (15.5).

24 (8.5).

1 (0.4).

25 (8.8).

22 (7.8).

8 (2.8).

68 (24.0).

Behavioral-cont'd
Patient education

112 (6.2)

26 (5.7)

21 (7.0)

18 (4.7)

7 (2.5)
Safety
Crisis management
Risk management

243 (13.3).

6 (0.3).

237 (13.0).

72 (15.7).

11 (2.4).

61 (13.3).

41 (13.7).

-.

41 (13.7).

44 (11.5).

2 (0.5).

42 (10.9).

34 (12.0).

-.

34 (12.0).

Health system
Health system mediation
Health system management

88 (4.8).

58 (3.2).

30 (1.6).

21 (4.6).

17 (3.7).

4 (0.9).

18 (6.0).

11 (3.7).

7 (2.3).

16 (4.2).

12 (3.1).

4 (1.0).

15 (5.3).

14 (4.9).

1 (0.4).

Non classification-7 (1.5)-7 (1.8)-
Total1,821 (100.0)459 (100.0)300 (100.0)384 (100.0)283 (100.0)


간호중재분류체계의 군별 분포를 살펴보면, 모든 손상군에서 조직관류관리군(Tissue Perfusion Managemen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두경부 24.9%, 흉부 27.5%, 복부 25.0%, 사지 및 골반부 26.8%, 체표부손상군 24.0%). 다음으로 두경부(13.0%), 흉부(13.3%), 복부(13.7%) 손상군에서는 위험관리군(Risk Management)이 높았고, 사지 및 골반부(12.2%), 체표부(15.5%) 손상군에서는 약물관리군(Drug Management)이 높게 나타났다(Table 2).

주 상해 부위별로 적용된 간호중재는 두경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은 100% 수행되었고, 말초감각사정 98.4%, 정맥로확보 96.9%, 감시 95.3%. 심전도부착 93.8%, 호흡기모니터링은 92.2% 수행되었다. 흉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정맥로확보는 100% 수행되었고, 감시,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이 94.4%, 말초감각사정, 수액요법은 88.9% 수행되었다. 복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영양모니터링, 낙상예방, 질환과정에 대한 교육, 입원간호가 100% 수행되었고, 말초감각 사정, 감시,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 채혈-정맥혈 샘플, 채혈-혈액형 검사, 절차/치료에 대한 교육, 수액요법이 90.9% 수행되었다.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에서 100% 수행되었고, 말초감각사정, 정맥로확보, 감시, 채혈-정맥혈 샘플, 채혈-혈액형 검사, 수액요법은 91.7% 수행되었다. 체표부손상군의 경우 신경학적모니터링, 활력징후모니터링, 정맥로확보, 선별검사, 영양모니터링, 수액요법, 진통제투여, 급성통증관리, 유치도뇨, 정맥내약물투여(항생제), 피부감시가 100% 수행되었다. 말초감각사정, 감시, 심전도부착, 호흡기모니터링, 낙상예방, 입원간호, 저혈량관리, 체온유지, 중심정맥관관리, 화상상처간호는 88.9% 수행되었다(Table 3).

논 의

본 연구는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대상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주 상해 부위에 따른 산업재해 발생업종은 제조업이 가장 많았다. 이는 사고사망자의 경우 건설업에서 46.0%, 재해자는 기타 사업에서 37.4% 발생하였다고 보고한 2022년 산업재해 현황 통계(Lee, 2022)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지역적 특성이 다른 지역과는 달리 1960년대 우리나라 산업화 초기부터 정유, 석유화학, 조선, 자동차 등 중화학공업 위주로 제조업에 대한 산업 편중이 특화되어 있어 나타난 차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산업재해 특성 중 보호장구 착용 여부에 대해 대부분의 대상자와 구급대원들이 정확히 기억하지 못해, 대상자들이 작업시간 동안 보호장구를 올바르게 착용했다고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사고원인은 추락사고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보고(Jo, 2019)에 따르면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및 착용이 불량한 상태에서 추락사고로 인한 산업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고 하였는데,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시 추락사고는 대상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재해 및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 개인보호장구 착용은 필수적이며(Sehsah, El-Gilany, & Ibrahim, 2020), 작업 현장 내 안전방호시설 설치 등으로 추락 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Jo, 2019). 더불어 사업장은 안전보건체계를 구축하고 예방 활동을 위해 최소한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을 선임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안전보건 담당자들이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법령에 따른 의무를 준수할 수 있도록 안전보건체계를 구축하고 활동을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또한 이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컨설팅 등의 제도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Jeon, Oh, Jo, Go, & Jeong, 2022; Jo 2019).

셋째, 본 연구에서 주 상해 부위 중 흉부손상군의 경우 진료결과 사망률이 27.8%로 다른 상해 부위 손상군보다 중증도가 높고, 의식상태가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외상 환자의 중증도 평가 및 분류지침에는 생리학적 불안정성, 해부학적 외상 부위, 사고원인 등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 중 생리학적 불안정성 평가 기준이 되는 GCS는 중증외상 환자의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중증 환자 판별에 중요하다(Kim et al, 2015). 중증외상 환자의 예후 판정을 분석한 연구(Lee et al, 2016)에서는 GCS가 예후와 큰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권역외상센터에서 초기 간호중재로 외상 환자의 의식 사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예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내원 시 활력징후 중 두경부손상군의 수축기혈압이 다른 상해 부위 손상군의 수축기혈압보다 높게 나타났다. 보통 두경부손상과 관련된 고혈압은 이완기혈압보다 수축기혈압의 상승이 큰데, 이는 혈관의 뇌혈량 증가에 의한 뇌부종으로 인해 나타나는 쿠싱반사(Cushing’s triad)의 이차반응이다. 심한 두부외상 환자에게서 지속적 고혈압은 뇌혈량 증가 및 두개내압 상승으로 뇌부종을 더욱 악화시킨다(Kim, 2007). 이에 간호사는 외상 환자의 일차 사정 항목인 활력징후 변화양상을 잘 파악하여 이에 따른 우선순위 간호중재를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Kim & Seo, 2021), 두경부손상 환자의 고혈압 관리 중재가 우선임을 인지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전체 대상자에게 제공된 간호중재를 NI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개 영역, 17개 군, 63개의 중재가 수행되었으며, 이는 NIC의 분류체계 565개의 간호중재의 11.2%에 해당된다. 이는 NIC 분류체계를 이용한 선행연구에서 흉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Kim & Kim, 2021) 9.7%, 복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Jang & Lee, 2021) 10.8%의 간호중재가 분석된 결과와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의 분류 결과 간호 영역과 군에서 생리학적:복합적 영역의 조직관류관리, 약물관리, 안전영역의 위험관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흉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Kim & Kim, 2021)에서 생리학적:복합적 영역의 조직관류관리 14.8%, 약물관리 6.6%, 안전영역의 위험관리 20.1%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외상 환자에게서 활력징후 및 투약, 의사소통 등 대상자에게 직접적으로 행해지는 간호활동이 많음을 의미한다(Cho et al., 2020). 이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전체 대상자에게 100% 수행된 간호중재는 활력징후모니터링과 신경학적모니터링이다. 이는 중증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Kim et al., 2013)와 흉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Kim & Seo, 2021)에서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모니터링 100%, 복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Jang & Lee, 2021)에서 활력징후모니터링 100%, 신경학적모니터링 99.2%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손상에 의한 출혈은 다량의 출혈로 인해 활력징후가 불안정하며 높은 사망률을 보이기 때문에 활력징후모니터링이 중증 응급 환자의 임상지표로 관리되고 있다(Shin, Chaung, & Kim, 2019). 또한,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경우 빠르게 의식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경학적모니터링에서 의식 수준 평가는 환자의 안전과 예후를 위해 중요하다. 이에 응급실 간호사는 중증도가 높게 분류된 환자의 의식을 자주 평가하여 적절한 응급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17). 외상소생구역에 내원하는 모든 산업재해 외상 환자들에게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모니터링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절차/치료에 대한 교육(81.6%) 또한 대상자에게 많이 수행된 간호중재로 나타났다. 예상치 못한 손상을 입은 외상 환자 간호 시, 간호사는 교육을 제공하고 동의를 받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Bae, Lee, & Jang, 2007). 그러나 긴장된 상황 속에서 간호사에게 의존하게 되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앞으로 제공될 치료와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는 것은중요하고 필수적이다(Bae et al, 2007; Ha & Park, 2016). 또한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과 두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그들을 공감하고 이해해 주는 정서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Ha & Park, 2016). 이에 간호사는 응급상황에서도 간호 교육 및 정서적 간호 제공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 분류 결과를 살펴보면, 두경부손상군에서는 다른 상해 부위에 비해 정맥내약물투여(항전간제), 뇌부종관리, 구토관리, 고혈압관리, 정맥내약물투여(삼투성이뇨제)로 직접적인 간호중재가 많이 수행되었다. 중증외상 환자의 간호활동을 분석한 연구(Kim et al, 2013)에서도 두경부손상군에서 뇌압상승징후사정, 30도머리상승 중재가 많았는데, 이는 두개내압 상승과 연관이 있다. 외상성 두부손상은 두피, 두개골 및 뇌에 직접적인 일차적 손상(primary damage)과 생체반응으로 나타나는 이차적 손상(secondary damage)으로 나누어지며, 환자의 생존 및 기능 회복을 위해 두개내압을 낮추고 적절한 뇌관류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Kim, Chung, Huh, & Cho, 2008). 이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며,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침대 머리를 30도 높이거나 반좌위 체위를 시행하고, 만니톨을 통한 고삼투압 요법이 제공되어야 한다(Lizzo, Waseem, & Tatikonda, 2023).

흉부손상군에서는 심장관리:급성, 응급간호 ․ 심폐소생술, 흉관삽관 간호, 소생개흉술 준비, 개흉심장 마사지준비 간호중재가 높게 나타났다. 흉부외상 환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를 분석한 연구(Kim & Kim, 2021)에서는 튜브관리: 흉부, 심장관리급성, 소생술, 소생개흉술, 개흉심장 마사지가 있었고, 중증흉부외상 환자 간호중재를 분석한 연구(Kim & Seo, 2021)에서는 튜브간호:흉곽, 소생개흉술이 있었다. 이처럼 흉관삽관은 흉부외상 환자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처치이므로, 필요 시 즉각적 처치를 위해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며(Kim & Kim, 2021), 개흉심장 마사지 시행 시 간호사는 패들 및 심장 내 주사를 위한 약물을 준비하고, 소요시간, 전기쇼크 횟수, 투여된 약물의 양, 환자의 반응을 기록해야 한다(D'Souza & Law, 2023). 또한 흉부 외상 환자 간호중재 개발 시 흉관삽관 간호와 개흉심장 마사지 준비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가 있다(Kim & Kim, 2021).

복부손상군에서는 정맥로확보, 중심정맥관관리, 수액요법 간호중재가 많이 수행되었는데, 이는 저혈량증과 관련이 있었다. 복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Jang, & Lee, 2021)에서도 간호중재 중 수액소생술, 정맥로확보, 중심정맥관관리가 높게 나타났다. 복강 내 구조는 혈관이 많고 외상 후 손상으로 인해 생명을 위협하는 저혈량증이 발생할 수 있다(Dowds, 1994). 정맥로확보 및 중심정맥관을 통한 수액요법은 이같은 저혈량증에 일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생요법인 간호중재이다(Jang & Lee, 2021). 응급실 간호사는 복부손상군 환자 사정 시 저혈량증의 징후로 나타나는 빠르고 약한 맥박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며, 신속하게 환자 상태를 평가하고 정맥로확보 등 즉각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Dowds, 1994; Jang & Lee, 2021).

사지 및 골반부손상군에서는 채혈-혈액형검사, 침습적혈류역학모니터링, 동맥혈채혈, 체온유지, 골반고정밴드적용 및 관리, 수혈간호 ․ 저혈압관리, 견인장치/부동 간호중재가 많이수행되었는데, 이 간호중재들은 출혈을 중재하기 위한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골반 외상은 골절이나 골반내 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여, 대량 출혈을 야기하게 되는데, 이는 출혈성 쇼크로 인한 대사성 산증, 저체온, 응고 장애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된다(Hwang, Kim, & Park, 2023; Kang, Yeom, Jo, & Kim, 2016). 이에 불안정형 골반 골절에 의한 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골반의 용적을 줄이거나 골반고리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초기 처치로는 병원 도착 전부터 골반천이나 골반고정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Hwang et al, 2023).

본 연구에서 체표부손상군에서 수행된 중재 중 수액요법, 급성통증관리, 진통제투여, 화상상처간호, 퇴원간호, 상처세척, 기도삽입 및 안정화․ 침습적 인공호흡기 관리 ․ 기도흡인 간호중재가 높게 나타났고, 이 중 퇴원간호는 66.7%로 화상전문센터로의 전원이었다. 중증 화상은 단일 외상 중에서 가장 위중한 질환이며 체표부 손상으로 인한 방어기전으로 패혈증 등의 합병증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외상 중 하나이다(Oh & Kym, 2020). 따라서, 활력징후모니터링, 화상상처소독, 통증조절 등을 대상자에게 제공하여 질 높은 간호가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Costa et al., 2023), 화상전문센터로의 전원과정까지 의료진의 책임감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타 의료기관으로의 전원은 주의의무가 요구되는 중요한 법적인 업무이고, 정보전달과 관련한 오류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이에 전원 관련 환자 안전의 중요성과 올바른 안전간호 수행방법을 구체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상 환자 생존율에 있어 초기 사정과 처치가 중요한 만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산업재해 환자들의 특성, 주 상해 부위에 따라 수행된 간호중재를 확인하여 외상소생구역에 내원한 대상자를 분석하였다. 이에 산업재해와 관련하여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외상간호 교육과 산업재해 외상 환자의 초기 사정,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 및 프로토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어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일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환자에게 실제로 수행되었지만 기록이 누락된 간호중재들을 모두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복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일 권역외상센터 외상소생구역에 내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제 특성을 파악하고 주 상해 부위에 따른 간호중재를 파악할 수 있었다. 모든 군에서 100% 수행된 간호중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과 신경학적 모니터링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증외상 환자 초기 사정 시 필수적인 활력징후 및 신경학적 모니터링을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여, 간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응급 처치 및 간호중재를 적용해야 한다. 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 간호중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에 초기 사정 및 상해 부위별 간호중재 프로토콜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산업재해 환자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개인보호장구 착용 의무화 및 산업안전 예방 ․ 대응 역량 강화 교육뿐만 아니라 관리감독자 규제 강화와 교육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일 지역 권역외상센터에 국한되었기에 지역을 확대하여 지속적으로 간호중재를 분석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 사정과 간호중재 내용을 바탕으로 외상센터 간호사 대상 교육자료 및 간호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타당성 확립을 위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직업군에 따라 산업재해 위험요인과 산업재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직업군에 따른 산업재해 간호중재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VariablesCategoriesHead & Necka (n=64)Thoraxb (n=18)Abdomenc (n=11)ExtremityD (n=12)External (skin)e (n=9)p
n (%) or M±SDn (%) or M±SDn (%) or M±SDn (%) or M±SDn (%) or M±SD
Age (year)56.3±10.2452.8±11.7851.1±8.8551.3±17.5345.8±11.67.043e
Admission route

Direct admission

Transfer

41 (64.0)

23 (36.0)

12 (66.7)

6 (33.3)

8 (72.7)

3 (27.3)

9 (75.0)

3 (25.0)

9 (100.0)

-

-
Admission mode

119 ambulance

Other ambulance

Company ambulance

38 (59.4)

22 (34.3)

4 (6.3)

10 (55.6)

6 (33.3)

2 (11.1)

6 (54.5)

4 (36.4)

1 (9.1)

7 (58.3)

3 (25.0)

2 (16.7)

4 (44.5)

2 (22.2)

3 (33.3)

-
Prior contact with trauma center

Yes

No

35 (54.7)

29 (45.3)

13 (72.2)

5 (27.8)

8 (72.7)

3 (27.3)

10 (83.3)

2 (16.7)

7 (77.8)

2 (22.2)

-
Lapse time (mins)145.4±137.80124.6±149.12174.7±175.4093.8±37.1868.2±17.93.105
Transfusion

Yes

No

3 (4.7)

61 (95.3)

3 (16.7)

15 (83.3)

4 (36.4)

7 (63.6)

8 (66.6)

4 (33.4)

1 (11.1)

8 (88.9)

-
Main treatment partTS NS OS EM

8 (12.5)

53 (82.8)

2 (3.1)

1 (1.6)

15 (83.3)

2 (11.1)

1 (5.6)

-

4 (36.4)

6 (54.5)

1 (9.1)

-

10 (83.4)

-

1 (8.3)

1 (8.3)

9 (100.0)

-

-

-

-
Treatment plan & results

GW

ICU

OR

Transfer

Death

DOA

9 (14.1)

41 (64.1)

10 (15.6)

-

3 (4.7)

1 (1.5)

3 (16.7)

9 (50.0)

1 (5.6)

-

5 (27.8)

-

3 (27.3)

5 (45.4)

3 (27.3)

-

-

-

-

7 (58.3)

2 (16.7)

2 (16.7)

-

1 (8.3)

-

1 (11.1)

1 (11.1)

7 (77.8)

-

-

-
ISS26.0±10.4531.6±21.7620.3±5.6629.4±9.4128.8±19.32.142
GCS11.8±4.2310.8±5.9214.9±0.3011.4±4.1214.7±0.71.009a,b,d
LOC

Alert

Confuse

Drowsy

Stupor

Semi-coma

Coma

28 (43.8)

8 (12.5)

11 (17.2)

11 (17.2)

2 (3.1)

4 (6.2)

11 (61.0)

1 (5.6)

-

1 (5.6)

-

5 (27.8)

10 (90.9)

-

1 (9.1)

-

-

-

4 (33.4)

2 (16.7)

1 (8.3)

3 (25.0)

1 (8.3)

1 (8.3)

7 (77.8)

2 (22.2)

-

-

-

-

-
Vital sign (n=104)

SBP (mmHg)

DBP (mmHg)

HR (beat/min)

RR (breaths/min)

BT (℃)

SpO2 (%)

148.0±28.31

93.6±19.96

81.4±17.01

19.2±3.67

36.5±0.48

97.9±2.84

126.2±26.27

84.2±20.11

88.0±20.46

20.7±3.01

36.6±0.40

96.2±3.30

135.5±30.53

88.9±23.27

81.2±18.09

19.8±4.49

36.4±0.25

97.5±2.46

123.9±26.25

86.4±26.23

97.0±24.99

23.5±7.33

36.6±0.25

98.3±2.57

141.0±34.29

80.2±20.66

100.7±20.07

20.4±5.18

36.3±0.30

98.3±2.60

.043b,d

.363

.029a

.230

.619

.178

Protective gear

Yes

No

Unknown

8 (12.5)

5 (7.8)

51 (79.7)

1 (5.6)

1 (5.6)

16 (88.8)

1 (9.1)

-

10 (90.9)

2 (16.7)

-

10 (83.3)

-

1 (11.1)

8 (88.9)

-
Type of occupational

Construction

Express

Shipbuilding

Manufacturing

Other

14 (21.9)

6 (9.4)

7 (10.9)

30 (46.9)

7 (10.9)

3 (16.7)

1 (5.6)

2 (11.1)

9 (50.0)

3 (16.7)

3 (27.3)

-

1 (9.1)

6 (54.5)

1 (9.1)

5 (41.7)

-

2 (16.6)

5 (41.7)

-

1 (11.1)

-

2 (22.2)

6 (66.7)

-

-
Mechanism of injury

Fall down

Slip down

Struck

Machine

Pedestrian

TA Burn

39 (60.9)

4 (6.3)

15 (23.4)

4 (6.3)

2 (3.1)

-

10 (55.6)

-

6 (33.3)

1 (5.6)

1 (5.6)

-

5 (45.5)

-

6 (54.5)

-

-

-

7 (58.3)

-

2 (16.7)

1 (8.3)

2 (16.7)

-

-

-

-

-

1 (11.1)

8 (88.9)

-

BT=Body temperature; DBP=Diastolic blood pressure; DOA=Dead on arrival; EM=Emergency medicine; GCS=Glasgow Coma Scale;

GW=General ward; HR=Heart rate; ICU=Intensive care units; ISS=Injury Severity Score; LOC=Level of consciousness); NS=Neurosurgery;

OR=Operating rooms; OS=Orthopedic surgery; RR=Respiratory rate; SBP=Systolic blood pressure; SD=Standard deviation; SpO2=Saturation by pulse oximetry; TA=Traffic accident; TC=trauma center; TS=Trauma surgery; Excluded fro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griculture/water supply industry/electricity/gas.


Table 2 Nursing Domain and Class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VariablesHead & Neck (n=64)Thorax (n=18)Abdomen (n=11)Extremity (n=12)External (skin) (n=9)
n (%)n (%)n (%)n (%)n (%)
Physiological: Basic
Elimination management
Immobility management
Nutrition support
Physical comfort promotion

228 (12.5)

42 (2.3)

74 (4.1)

59 (3.2)

53 (2.9)

51 (11.1)

8 (1.7)

17 (3.7)

15 (3.3)

11 (2.4)

38 (12.7)

7 (2.3)

11 (3.7)

11 (3.7)

9 (3.0)

48 (12.5)

9 (2.3)

19 (4.9)

11 (2.9)

9 (2.3)

33 (11.7)

9 (3.2)

4 (1.4)

11 (3.9)

9 (3.2)

Physiological: Complex
Electrolyte and acid-base management
Drug management
Neurologic management
Preoperative care
Respiratory management
Skin/wound management
Thermoregulation
Tissue perfusion management

1,150 (63.2)

30 (1.6)

216 (11.9)

179 (9.8)

9 (0.5)

147 (8.1)

75 (4.1)

40 (2.2)

454 (24.9)

282 (61.4)

4 (0.9)

38 (8.3)

47 (10.2)

1 (0.2)

42 (9.2)

12 (2.6)

12 (2.6)

126 (27.5)

182 (60.7)

7 (2.3)

37 (12.3)

28 (9.3)

2 (0.7)

18 (6.0)

7 (2.3)

8 (2.7)

75 (25.0)

251 (65.4)

8 (2.1)

47 (12.2)

28 (7.3)

3 (0.8)

38 (10.0)

14 (3.6)

10 (2.6)

103 (26.8)

194 (68.6)

2 (0.7)

44 (15.5)

24 (8.5)

1 (0.4)

25 (8.8)

22 (7.8)

8 (2.8)

68 (24.0)

Behavioral-cont'd
Patient education

112 (6.2)

26 (5.7)

21 (7.0)

18 (4.7)

7 (2.5)
Safety
Crisis management
Risk management

243 (13.3)

6 (0.3)

237 (13.0)

72 (15.7)

11 (2.4)

61 (13.3)

41 (13.7)

-

41 (13.7)

44 (11.5)

2 (0.5)

42 (10.9)

34 (12.0)

-

34 (12.0)

Health system
Health system mediation
Health system management

88 (4.8)

58 (3.2)

30 (1.6)

21 (4.6)

17 (3.7)

4 (0.9)

18 (6.0)

11 (3.7)

7 (2.3)

16 (4.2)

12 (3.1)

4 (1.0)

15 (5.3)

14 (4.9)

1 (0.4)

Non classification-7 (1.5)-7 (1.8)-
Total1,821 (100.0)459 (100.0)300 (100.0)384 (100.0)283 (100.0)

Table 3 Nursing Intervention of Participa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s in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N=114)

Nursing interventionHead & Neck (n=64)Thorax (n=18)Abdomen (n=11)Extremity (n=12)External (skin) (n=9)
n (%)n (%)n (%)n (%)n (%)

Neurologic monitoring

Vital signs monitoring

Peripheral sensation management

IV insertion

Surveillance

Hemodynamic regulation

Respiratory monitoring

Phlebotomy: venous blood sample

Phlebotomy: blood unit acquisition

Health screening

Nutritional monitoring

Teaching: procedure/treatment

Fluid management

Fall prevention

Teaching: disease process

Admission care

Invasive hemodynamic monitoring

Phlebotomy: arterial blood sample

Positioning

Analgesic administration

Pain management: acute

Hypovolemia management

Hypothermia treatment

Urinary catheterization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antibiotic)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hemostatic)

Positioning: neurologic

Hypoglycemia management

Transport interfacility

Skin surveillance

64 (100.0)

64 (100.0)

63 (98.4)

62 (96.9)

61 (95.3)

60 (93.8)

59 (92.2)

58 (90.6)

58 (90.6)

57 (89.1)

57 (89.1)

57 (89.1)

55 (85.9)

55 (85.9)

55 (85.9)

54 (84.4)

49 (76.6)

49 (76.6)

46 (71.9)

42 (65.6)

42 (65.6)

42 (65.6)

40 (62.5)

39 (60.9)

34 (53.1)

34 (53.1)

34 (53.1)

30 (46.9)

30 (46.9)

29 (45.3)

18 (100.0)

18 (100.0)

16 (88.9)

18 (100.0)

17 (94.4)

17 (94.4)

17 (94.4)

14 (77.8)

14 (77.8)

14 (77.8)

13 (72.2)

12 (66.7)

16 (88.9)

12 (66.7)

14 (77.8)

12 (66.7)

10 (55.6)

12 (66.7)

9 (50.0)

11 (61.1)

11 (61.1)

8 (44.4)

12 (66.7)

8 (44.4)

6 (33.3)

5 (27.8)

11 (61.1)

4 (22.2)

4 (22.2)

5 (27.8)

11 (100.0)

11 (100.0)

10 (90.9)

8 (72.7)

10 (90.9)

10 (90.9)

10 (90.9)

10 (90.9)

10 (90.9)

9 (81.8)

11 (100.0)

10 (90.9)

10 (90.9)

11 (100.0)

11 (100.0)

11 (100.0)

9 (81.8)

8 (72.7)

6 (54.6)

9 (81.8)

9 (81.8)

5 (45.5)

8 (72.7)

7 (63.6)

7 (63.6)

7 (63.6)

7 (63.6)

7 (63.6)

7 (63.6)

3 (27.3)

12 (100.0)

12 (100.0)

11 (91.7)

11 (91.7)

11 (91.7)

12 (100.0)

12 (100.0)

11 (91.7)

11 (91.7)

10 (83.3)

9 (75.0)

8 (66.7)

11 (91.7)

9 (75.0)

10 (83.3)

9 (75.0)

10 (83.3)

10 (83.3)

8 (66.7)

9 (75.0)

9 (75.0)

8 (66.7)

10 (83.3)

9 (75.0)

8 (66.7)

8 (66.7)

5 (41.7)

8 (66.7)

4 (33.3)

6 (50.0)

9 (100.0)

9 (100.0)

8 (88.9)

9 (100.0)

8 (88.9)

8 (88.9)

8 (88.9)

6 (66.7)

6 (66.7)

9 (100.0)

9 (100.0)

2 (22.2)

9 (100.0)

8 (88.9)

5 (55.6)

8 (88.9)

7 (77.8)

7 (77.8)

2 (22.2)

9 (100.0)

9 (100.0)

8 (88.9)

8 (88.9)

9 (100.0)

9 (100.0)

7 (77.8)

7 (77.8)

2 (22.2)

1 (11.1)

9 (100.0)

Wound care

Oxygen therapy

Medication administration: IM

Airway suction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anticonvulsants)

Central venous access device management

Anesthesia administration

Airway insertion and stabilization

Bed rest care

Mechanical ventilation management: invasive

Cerebral edema management

Suturing

Vomiting management

Surgical preparation

Fluid resuscitation

Hypertension management

Splint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osmotic diuretic)

Medication administration: IV (steroid)

Wound irrigation

Discharge planning

Cardiac care: acute

Emergency care

Resuscitation

Self-care assistance: toileting

Tube care chest

Blood products administration

Medication administration: IO

Nasogastric intubation

Tube care: gastrointestinal

Nausea management

27 (42.2)

26 (40.6)

25 (39.1)

22 (34.4)

22 (34.4)

21 (32.8)

21 (32.8)

19 (29.7)

19 (29.7)

18 (28.1)

18 (28.1)

13 (20.3)

10 (15.6)

9 (14.1)

8 (12.5)

8 (12.5)

8 (12.5)

8 (12.5)

7 (10.9)

6 (9.4)

4 (6.3)

3 (4.7)

3 (4.7)

3 (4.7)

3 (4.7)

3 (4.7)

2 (3.1)

2 (3.1)

1 (1.6)

1 (1.6)

1 (1.6)

5 (27.8)

8 (44.4)

5 (27.8)

7 (38.9)

-

8 (44.4)

2 (11.1)

4 (22.2)

4 (22.2)

2 (11.1)

2 (11.1)

2 (11.1)

-

1 (5.6)

7 (38.9)

-

4 (22.2)

-

1 (5.6)

-

5 (27.8)

6 (33.3)

5 (27.8)

5 (27.8)

-

4 (22.2)

2 (11.1)

-

1 (5.6)

1 (5.6)

-

3 (27.3)

6 (54.6)

6 (54.6)

1 (9.1)

-

5 (45.5)

1 (9.1)

1 (9.1)

3 (27.3)

-

-

1 (9.1)

-

2 (18.2)

2 (18.2)

-

2 (18.2)

-

2 (18.2)

-

-

1 (9.1)

-

-

-

-

1 (9.1)

-

-

-

-

6 (50.0)

8 (66.7)

9 (75.0)

5 (41.7)

-

7 (58.3)

6 (50.0)

5 (41.7)

6 (50.0)

5 (41.7)

-

1 (8.3)

-

3 (25.0)

9 (75.0)

-

3 (25.0)

-

-

1 (8.3)

3 (25.0)

1 (8.3)

1 (8.3)

1 (8.3)

-

3 (25.0)

4 (33.3)

-

1 (8.3)

1 (8.3)

-

1 (11.1)

5 (55.6)

7 (77.8)

4 (44.4)

-

8 (88.9)

3 (33.3)

4 (44.4)

1 (11.1)

4 (44.4)

-

-

-

1 (11.1)

4 (44.4)

1 (11.1)

1 (11.1)

-

1 (11.1)

4 (44.4)

6 (66.7)

-

-

-

-

-

1 (11.1)

-

1 (11.1)

1 (11.1)

-

Traction/immobilization care

Wound care: burn

Fluid/electrolyte management

Hypotension management

Defibrillator management: external

Open cardiac massage

Pelvic stabilization device

Resuscitative thoracotomy

1 (1.6)

-

-

-

-

-

-

-

-

-

-

2 (11.1)

1 (5.6)

3 (16.7)

1 (5.6)

3 (16.7)

-

-

-

1 (9.1)

-

-

-

-

2 (16.7)

-

1 (8.3)

4 (33.3)

-

1 (8.3)

5 (41.7)

1 (8.3)

-

8 (88.9)

1 (11.1)

1 (11.1)

-

-

-

-

Total=3,4271,821 (100.0)459 (100.0)300 (100.0)384 (100.0)283 (100.0)

References

  1. Bae, H. A., Lee, S. B., & Jang, H. Y., assignee. (2007). Resolving conflicts between informed consent and patients' privacy in medical emergenci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0(1), 73-82. https://doi.org/10.35301/ksme.2007.10.1.73
    CrossRef
  2. Baker, S. P., O'Neill, B., , W., & Long, W. B., assignee. (1974). The injury severity score: a method for describing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and evaluating emergency care. The Journal of Trauma, 14(3), 187-196.
    CrossRef
  3. Butcher, H. K., Bulechek, G. M., Dochterman, J. M., & Wagner, C., assignee. (2016).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7th ed.. Cambridge, MA: Elsevier.
    CrossRef
  4. Cho, J. W., assignee. (2009). A study on causal effects of safety training and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affecting industrial inci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5. Cho, S. H., Lee, J. Y., Hong, K. J., Yoon, H. J., Sim, W. H., & Kim, M. S., et al, assignee. (2020). Determining nurse staffing by classifying patients based on their nursing care nee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1), 42-54.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42
    CrossRef
  6. Costa, P. C. P., Barbosa, C. S., Ribeiro, C. D. O., Silva, L. A. A. D., Nogueira, L. D. A., & Kalinke, L. P., assignee. (2023). Nursing care directed to burned patients: a scoping review.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76(3), 1-8. https://doi.org/10.1590/0034-7167-2022-0205
    Pubmed KoreaMed CrossRef
  7. Dowds, P., assignee. (1994). Blunt abdominal trauma.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2), 63-69. https://doi.org/10.1016/0965-2302(94)90062-0
    Pubmed CrossRef
  8. D'Souza, R. S., & Law, L., assignee. (2023). Open heart massage. StatPearls Publishing, Treasure Island, FL.
    CrossRef
  9.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assignee. (2017). Emergency nursing core curriculum. 7th ed.. .). Cambridge, MA: Elsevie.
    CrossRef
  10. Ha, J. H., & Park, H. S., assignee. (2016). An ethnography on daily lives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48-459. https://doi.org/10.7739/jkafn.2016.23.4.448
    CrossRef
  11. Hwang, J. H., Kim, J. H., & Park, S. H., assignee. (2023). Interventional management for pelvic trau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 84(4), 835-845. https://doi.org/10.3348/jksr.2023.0032
    Pubmed KoreaMed CrossRef
  12. Jang, M. J., & Lee, Y. W., assignee. (2021).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bdominal trauma.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9(2), 17-36. https://doi.org/10.31148/kjmnr.2021.39.2.17
    CrossRef
  13. Jeon, Y. I., Oh, G. T., Jo, H. H., Go, J. S., & Jeong, N. W., assignee. (2022). Strategies for improv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response to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transition (Final report). Republic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4. Jo, Y. H., assignee. (2019). Analysi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by type (2019-1467).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5. Kang, W. S., Yeom, J. W., Jo, Y. G., & Kim, J. C., assignee. (2016). Pathophysiology of hemorrhagic shock. Journal of Acute Care Surgery, 6(1), 2-6. https://doi.org/10.17479/jacs.2016.6.1.2
    CrossRef
  16. Kim, D. M., & Seo, E. J., assignee. (2021).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in trauma-bay at the regional trauma center for patients with severe thoracic injuri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3(2), 138-150. https://doi.org/10.7586/jkbns.2021.23.2.138
    CrossRef
  17. Kim, G. T., assignee. (2007). Management of head injur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0(8), 692-701.
    CrossRef
  18. Kim, K. U., & Kim, Y. H., assignee. (2021).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oracic injury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s using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by emergency room typ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3(4), 257-266. https://doi.org/10.7586/jkbns.2021.23.4.257
    CrossRef
  19. Kim, M. H., Kim, M. H., & Park, J. H., assignee. (2013).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the main damaged body par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4), 210-218. https://doi.org/10.7586/jkbns.2013.15.4.210
    CrossRef
  20. Kim, S. Y., So, B. H., Kim, H. M., Jeong, W. J., Cha, K. M., & Choi, S. P., assignee. (2015). Evaluation the usefulness of individual factors for determining the severity and predicting prognosis of trauma victims.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28(3), 134-143.
    CrossRef
  21. Kim, T. G., Chung, S. S., Huh, R., & Choi, J. U., assignee. (2008).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Neurocritical Care, 1, 56-62.
    CrossRef
  22. Lee, H. S., assignee. (2022).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trends employment and labor. Retrieved July 1, 2023, from https://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30300058
  23. Lee, S. H., Park, J. M., Park, J. S., Kim, K. H., Shin, D. W., & Jeon, W. C., et al, assignee. (2016). Utility of the rapid emergency medicine score (REMS) for predicting hospital mortality in severely injured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 27(2), 199-205.
  24. Lizzo, J. M., Waseem, M., & Tatikonda, G., assignee. (2023). Brain Trauma (Nursing). StatPearls Publishing, Treasure Island, FL.
  25.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ssignee. (2020). Regional trauma center evaluation guid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26.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ssignee. (2022). Retrieved Oct 1, 2023, from https://www.e-gen.or.kr/nemc/business_others.do?contentsno=85
  27. Oh, S. Y., & Kym, D. H., assignee. (2020). Serum lactate, creatinine and urine output: early predictors of mortality after initial fluid resuscitation in severe burn patient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23(1), 1-6. https://doi.org/10.47955/jkbs.20.0008
    CrossRef
  28. Sehsah, R., El-Gilany, A. H., & Ibrahim, A. M., assignee. (2020).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use and its relation to accidents among construction workers. La Medicina Del Lavoro, 111(4), 285-295. htts://doi.org/10.23749/mdl.v111i4.9398.
  29. Shin, Y. H., Chaung, S. K., & Kim, H. J., assignee. (2019). Critical review I to standardize the textbooks of fundamentals of nursing: Vital sign assessment, body temperature regulation, oxyge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6(4), 282-300. https://doi.org/10.7739/jkafn.2019.26.4.282
    CrossRef
  30. Yang, S. K., assignee. (2022).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severe trauma patients before operated in trauma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